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정 지지부진

입력 2011-11-17 21:47

올해 안에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강원도의 각종 발전전략 차질이 우려된다.

17일 강원도에 따르면 지난 7월 경제자유구역 지정 부처인 지식경제부가 ‘2011년 경제자유구역 성과 평가 결과 및 후속 조치계획(안)’을 발표하면서, 이달 안에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지를 확정짓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홍석우 신임 지경부 장관이 취임, 연내 확정은 사실상 힘들어졌다는 관측 쪽으로 기울고 있다.

게다가 야당 등이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영리병원설립 관련 내용을 담은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에 반대하고 있다. 또 내년 총선과 대선 등 굵직한 정치 일정이 있어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은 내년에도 어려울 거라는 전망이다.

강원도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은 신환동해권시대와 평창 동계올림픽 등과 연계한 강원도의 중점 추진 발전전략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미뤄질 경우 도의 각종 전략 수립과 시행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지난달 단행키로 했던 대규모 조직개편마저 경자구역 지정 이후로 미뤘던 강원도로서는 연내 지정이 불투명해지자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새로 장관도 취임했고 여러 정치적인 여러 문제로 인해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미뤄질까 걱정이다”고 말했다.

도는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신청 지역이 기존 경제자유구역에 비해서도 뒤떨어지지 않는 여건을 갖고 있다는 입장이다.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역이 속해 있고, 최근에는 일본기업 36곳을 유치해 일본기업 전용단지를 조성키로 하는 등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더구나 신환동해권 출구전략에 수십조원을 투자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 일본의 서부지역 개발 움직임,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항로 이용 가시화, 남·북·러시아 천연가스관 연결 등도 동해안 경제거점 구축 필요성에 힘을 싣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2020년까지 발전전략을 신환동해권시대 경제거점 구축에 맞췄다.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와 연계한 ‘7대 특화벨트’의 해외진출 전초기지도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에 포함시킨 상태다.

춘천=박성은 기자 sil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