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 교계 이사 ‘4→2’ 기독 정체성 저버리나… 교계 반발에 대학 “법적 하자없어”

입력 2011-11-17 18:02

연세대학교(이사장 방우영)가 최근 기독교계 이사를 절반으로 줄이자 교계가 반발하고 있다. 연세대는 지난달 27일 추경이사회를 열고 ‘이사 선임을 위해 각 협동기관(예장 통합 1인, 기감 1인, 기장 1인, 성공회 1인)에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는 정관을 ‘기독교계 2인으로 한다’로 개정했다.

연세대가 이런 결정을 내리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대책위원회를 구성했으며, 한국기독교장로회와 대한성공회는 법적 대응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NCCK는 성명에서 “연세대가 기독교적 가치와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개신교 4개 교단 파송이사 규정을 준수했지만 최근 이 조항을 삭제해 버렸다”면서 “정관 개악을 즉각 취소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며 한국교회는 이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근상 성공회 의장주교는 “연세대는 지난 4∼5년간 기장과 성공회의 연세대 이사 진입을 막아 왔다”면서 “그런데도 개방이사를 받아들이겠다고 교계 이사를 절반으로 줄여버린 것은 초창기 선교사들의 기독교 대학 정신을 버리겠다는 뜻”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연세대 측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만장일치로 정관을 개정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법인 관계자는 “과거 정관에 따르더라도 이사 요청·선임권은 우리에게 있다”면서 “그동안 기감과 기장은 그런 과정 없이 이사를 추천했기에 프로세스(과정)에 맞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사로 재직 중인 이승영(서울 새벽교회) 목사도 “이사회가 교단 파송 이사를 보류하기 시작한 것은 분란에 빠진 기감이 제각각 3명이나 되는 이사를 추천하면서부터다”라고 했다. 이 목사는 “이사회 내에는 사학법을 반대하지 않고 이사 선임을 놓고 소송까지 제기하겠다는 기장과 성공회에 ‘당신 교단 자리부터 먼저 개방하라’는 정서가 있었다”며 “결국 이런 결과는 한국교회가 자초한 측면이 있다”고 귀띔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