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SNS 악성루머, 도를 넘었다
입력 2011-11-17 17:50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매개로 최근 유행병처럼 번진 유명인 사망설이 물의를 빚고 있다. 지난 8일 증권가에서 나온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설이 SNS를 통해 확산된 것을 비롯해, 이달 들어 연예인 이효리와 강호동씨,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사망설이 트위터 등을 통해 급속히 유포됐다.
악성 루머 대부분은 ‘숨진 채 발견’을 ‘숨쉰 채 발견’으로 바꾼 것이어서 그저 한번 웃고 넘어가자는 의도가 강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무리 웃자는 일이라도 사람의 생사에 관한 글은 관계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므로 자제돼야 마땅하다. 북한 김 위원장 사망설 등은 한때나마 주식시장 흐름을 왜곡시키기까지 했으니 결코 가볍게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 SNS는 최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 검증되지 않은 의혹들을 확산시키는 통로로, 또 민주당의 협상파 의원들을 억압하는 언어폭력의 수단으로 악용돼 우려를 샀다. SNS를 통한 사기나 괴담, 스토킹 등도 고개를 들고 있다.
무엇보다 문제인 것은 이런 글들이 오르고 확산되는 과정에서 여과나 통제장치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기존 언론들은 엄격한 사실 확인과 게이트키핑 과정 등을 거치며, 오보임이 확인되면 정정보도나 관계자 문책이 뒤따른다. 하지만 막강한 영향력을 구축한 SNS는 누구나 가볍게 글을 올리고 그보다 더 자유롭게 글을 실어 나르는,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구조다. 이런 이유로 방송작가 김수현씨나 영화배우 장근석씨 등이 트위터를 탈퇴했다.
SNS가 건전한 소통공간의 역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통제가 마련돼야 한다. 일단 출발점은 자정능력이다. 유저들이 책임감을 갖고 SNS를 사용해야 하며, 악성루머를 확대재생산하는 유저나 SNS가 자연도태되는 메커니즘이 스스로 자리를 잡아야 한다. SNS가 자정에 실패해 연예인들의 연쇄 자살을 불렀던 악성댓글의 폐해를 반복한다면 외부로부터의 규제가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