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에 B형 간염 예방백신 지원… 통일부, 어린이 100만명분

입력 2011-11-15 18:37

정부가 최근 어린이 100만명 이상에게 접종할 수 있는 B형 간염 예방 백신을 북한에 지원했다고 통일부가 15일 밝혔다. 통일부 최보선 대변인은 “국내에서 활동하는 국제 구호단체인 독일 카리타스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을 통해 지난 7일과 14일 두 차례에 걸쳐 북한에 10억6000만원 상당의 B형 간염 예방 백신을 지원했다”고 전했다.

예방 백신은 인천에서 중국 단둥까지는 선박으로, 단둥에서 신의주까지는 육로를 통해 북에 전달됐다. 최 대변인은 “정부가 북한에 간염 백신을 지원한 것 역시 지난해 11월 연평도 포격 사태 이후 처음”이라면서 “정부는 보건복지부 예산을 활용해 북한에 간염 백신을 지원해 왔고 이번에도 복지부 예산이 사용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5·24 대북제재 조치 이후인 작년 9월과 11월에도 총 17억원 상당의 백신을 지원했으나 연평도 사태 이후 사실상 지원을 전면 중단했었다. 복지부는 올해 예산에 7∼16세 북한 어린이와 청소년 105만8500명분의 B형 간염 백신 지원 예산 9억원을 반영했으나 현인택 전 장관 재임 시 5·24 조치를 이유로 통일부가 백신 지원에 부정적 입장을 고수해 지원이 이뤄지지 않았다.

세계보건기구(WHO)에 제공한 대북 인도적 지원금 1312만 달러 가운데 미집행분 694만 달러의 집행을 승인한 데 이은 정부의 이번 조치는 인도적 지원을 통한 남북관계 개선에 일차적 목표가 있다.

최 대변인은 “5·24 조치에도 불구하고 인도적 대북지원은 유지돼 왔다”면서 “이번 지원도 이러한 틀 내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조치들은 정부 예산이 들어가는 대북 지원 사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정부는 지난해 연평도 포격 사건 이후 정부 예산이 들어가는 대북지원을 전면 중단했으며 민간 차원의 대북 인도적 지원만 선별 승인하는 소극적 자세를 견지해 왔다.

정부는 남북대화 채널을 가동하기 위해 대북 유화 제스처를 잇따라 취하고 있으나 북한의 반응은 여전히 냉담하다.

이흥우 선임기자 h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