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77곳, 워크아웃·법정관리 대상

입력 2011-11-14 21:37

최근 마무리된 금융권의 중소기업 신용평가 결과 77곳이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대상으로 분류됐다. 지난 6월말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된 대기업 34곳까지 합해 올 들어 111곳이 퇴출 대상 목록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올해 퇴출 대상 기업 111곳=14일 금융감독원과 금융권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은 지난 9월부터 여신공여액 5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 1130개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을 평가해 43개 기업을 C등급(워크아웃), 34개 기업을 D등급(법정관리)으로 분류했다.

C등급은 자구계획을 마련해 재평가를 요구할 수 있지만 사실상 워크아웃을 신청할 가능성이 높다. D등급은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매각·청산 절차를 밟게 된다.

C·D 등급을 받은 중소기업 77곳 중 건설·부동산 관련 회사는 16곳으로 파악됐다. 부동산경기 하락으로 자금난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관련 업종 10여개사도 올 상반기 수출실적 급감 여파로 관련 하청업체들의 경영 상태가 악화되면서 구조조정 명단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들이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 77곳을 확정하면서 추가로 확보해야 할 대손충당금 규모는 3400억원으로 추정됐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전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지난해보다 오히려 줄어들었다”며 “은행이 사상 최대 규모의 순이익을 올린 만큼 부담되는 수준은 아니다”고 말했다.

◇경기침체 계속되면 내년에는 훨씬 더 늘어날 것=전문가들은 내년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한다. 유럽 재정위기와 미국의 경기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C·D등급을 받는 중소기업이 큰 폭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다.

이미 지난 9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1.56%로 대기업대출 연체율 0.51%의 3배에 달했다. 중소기업·대기업 연체율은 지난해 말 대비 각각 0.24% 포인트, 0.16% 포인트 높아졌다.

시중은행들이 자산건전성 확보를 위해 연체율 관리에 나서면서 중소기업들은 이미 현금 확보 비상에 걸렸다. 실제 한국은행이 시중은행들을 상대로 조사한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올해 3분기 19에서 4분기 13으로 하락했다. 대출태도지수는 은행들이 대출 조건을 강화할 때 낮아진다. 기업들의 대출 문턱이 그만큼 높아진다는 뜻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위기가 닥치면 중소기업의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고 돈줄이 막히게 된다”며 “현재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유관기관과 정보를 교환하는 등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