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쇄신 논의 주춤… 장외 신경전은 여전
입력 2011-11-10 18:43
한나라당 내 쇄신 논의가 9일 의원총회를 계기로 주춤하는 모양새다. 의총에서 격돌했던 친이명박계와 쇄신파 의원들은 10일 장외 설전을 펼치면서도 긴 싸움에 대비해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홍준표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미 FTA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문제이고, 당 쇄신 문제는 FTA 처리 이후 총체적으로 논의하자는 게 의원들의 대체적인 의견이었다”면서 “이를 종합해 지도부에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일단 지도부는 추가 의총은 계획하지 않고 있으며 FTA 처리 이후 쇄신 연찬회를 거쳐 최고위에서 의결한다는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친이명박계 의원들은 박희태 국회의장의 직권상정까지 거론하며 FTA 처리를 강조했다. 대통령 직계로 불리는 김영우 의원은 “일단 당력을 FTA에 집중해야 한다”면서 “이후 중앙당과 시·도당 조직 존폐 여부 등 당의 기존 패러다임을 다 바꾸겠다는 각오로 쇄신에 임하면 된다”고 말했다. 나성린 의원은 “쇄신파의 정책 노선 수정 요구는 자기부정이자 야당의 선동적인 주장을 토씨 하나 바꾸지 않고 그냥 수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며 전날 의총에 이어 비판을 이어갔다.
반면 쇄신파들은 대통령 사과 요구 등 쇄신 노력의 진정성을 강조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의 대응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태근 의원은 “이 대통령이 사과할 것으로 본다”며 “이번 기회는 국민들이 여권에게 준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친박근혜계 유승민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대통령의 ‘답변을 안 하는 게 제 답변’이라고 한 것을 ‘최대한 고민 중’이란 뜻으로 받아들인다”며 “언젠가 의원들의 요구에 분명한 답변을 내놔야 한다”고 압박했다.
쇄신파와 박근혜 전 대표가 정부의 정책 노선 변경을 요구하는 데 서로 교감하고 있고 연일 양쪽에서 비슷한 톤의 발언이 나오면서 당에선 쇄신파와 친박계의 연대가 본격화됐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쇄신파는 자칫 이런 시각이 쇄신 동력을 떨어뜨릴까 우려하며 서둘러 선을 긋고 있다. 친박계이자 쇄신파인 구상찬 의원은 “쇄신파 의원들이 쇄신을 주장하는 것은 박 전 대표가 당을 걱정하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며 같은 방향으로 걸어가고 있어서 만나게 된 것이지, 인위적인 연대는 없다”고 말했다.
당 안팎에선 쇄신 논의 자체보다 이를 계기로 친이계가 중심이 된 구주류 대 쇄신파와 친박계가 연합한 신주류가 내년 총선 공천권을 놓고 물밑 전쟁을 펼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