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완전개방형 통합全大 가닥… 민주당 주자보다 시민사회계 유리할 듯
입력 2011-11-10 18:43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혁신과통합 측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9일 통합신당의 지도부 선출 방식에 대해 “국민 염원을 충족시키는 방법으로 가야 한다”고 의견을 교환했다. 사실상 야권 통합전대 역시 ‘박원순식 경선’으로 치러지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10일 민주당 당권주자들과 다른 야당 관계자들의 전망을 종합해 보면 이런 방식으로 경선을 치를 경우 기존 민주당 당권주자들의 지도부 진입이 어려워지고 시민사회계나 노동계 인사들이 대거 지도부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박원순식 경선’은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야권 통합후보 경선 방식으로 일반국민 여론조사 30%, 일반인들 가운데 무작위로 선정된 배심원단의 ‘후보들 간 TV 토론 후 여론조사’ 30%, 당적과 상관없이 누구든지 투표단 후보로 등록케 한 뒤 이 가운데 무작위로 선정된 사람들이 현장투표를 하는 국민참여 현장투표 40%를 각각 합산해 이뤄졌다. 당시 시민사회계와 친노무현계가 예상을 뛰어넘는 동원력을 발휘한 덕분에 박원순 후보가 민주당의 조직력을 압도적으로 눌렀다.
통합신당에서 전대가 비슷한 방식으로 치러지면 민주당 당권주자인 김부겸 박지원 이종걸 의원 등은 사실상 당권에서 멀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일단 민주당 표 자체가 복수의 출마자들로 분산되는 데다 당내 주류 세력도 이들을 지지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통합의 주요 파트너인 혁신과통합, 한국노총 등의 동원력이 만만찮아 현장 세 대결에서도 민주당 주자들이 밀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혁신과통합은 친노계 및 영화배우 문성근씨가 이끄는 수십만 회원의 ‘국민의명령’, 시민사회계가 뭉쳐 있는 단체이고 한국노총은 조합비를 내는 열성 조합원 88만명을 가진 조직이다.
다만 민주당 주류가 지지하고 또 혁신과통합 측이 같은 편으로 생각하는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후보로 나설 경우 민주당이 당권을 쟁취하는 모양새가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선 손학규 대표와 밀접한 관계인 한국노총이 지지하는 후보가 당권을 거머쥘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 한 당권주자 측은 “상황이 이렇기 때문에 현 지도부가 민주당을 팔아넘기는 게 아니냐는 불만들이 터져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손병호 김원철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