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빅3 伊 위기] 유로존 결국 쪼개지나

입력 2011-11-10 18:21

그리스에 이어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3위 경제대국인 이탈리아마저 휘청거리면서 유럽연합(EU)의 분열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유로존 외부 국가들은 EU 내에서 발언권이 줄어들까 전전긍긍하고 있고 발등에 불이 떨어진 유로존은 경제통합을 강화하기 위해 일부 국가의 이탈까지 각오하는 모습이다.

닉 클레그 영국 부총리는 9일(현지시간) 유로존에 대해 ‘클럽 안의 클럽’을 만들지 말라고 촉구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재정위기 해결 과정에서 유로존 밖 10개 국가들이 배제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이다.

앞서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전날 유럽의회 본부가 있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한 연설에서 ‘두 가지 속도(two-speed)의 유럽’을 언급했다.

내적으로는 유로존의 경제통합을 늘리고 외적으로는 유럽통합을 위해 EU 회원국 숫자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도 “EU의 구조적 개혁이 필요하다”면서 “이는 더 많은 유럽을 뜻한다”고 밝혔다. 클레그 부총리는 이 같은 구상에 대해 “유로존의 재구성을 위해서는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EU 27개 회원국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는 다같이 논의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영국은 독일과 프랑스 주도의 경제통합 논의 과정에서 규제가 강화되면 자칫 자국의 금융시장을 위협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EU 고위 소식통을 인용해 독일과 프랑스가 경제통합을 강화하기 위해 ‘작은 유로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세금과 재정정책을 포함해 모든 수준에서 유로존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한 국가 이상이 유로존을 이탈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하지만 조제 마누엘 바호주 EU 집행위원장은 이 같은 주장을 부인하며 “EU는 분열의 비용을 치르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EU 집행위원회는 회원국들의 재정상태를 감독하고 제재할 수 있는 ‘예산 차르’ 직을 신설하기로 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보도했다. 초대 차르는 올리 렌 EU 경제·통화정책 담당 집행위원이 맡을 예정이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