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SNS로 FTA 찬성론자 겁박하는 사람들

입력 2011-11-10 18:01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론자들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안하무인의 폭력을 휘두르고 있다. 10·26 서울시장 선거에서 위력이 입증된 SNS를 이용해 FTA 비준동의안 국회 처리를 무산시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이다. 민주주의 사회인 만큼 FTA 반대 의견은 표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SNS를 무기 삼아 FTA 찬성론자들에게 협박과 욕설을 일삼고 있다. 도를 넘어선 야비한 행동이다.

타협안을 제시한 민주당 내 온건파 45명도 이들의 공격 목표가 됐다. 온건파들이 내놓은 안은 FTA 발효 즉시 투자자 국가소송제도(ISD) 존치 여부에 대한 협상 시작을 조건으로 한 비준안 처리다. 이는 국회에서의 물리적 충돌을 피할 수 있는 합리적 대안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곧바로 정치권 밖에 있는 반대론자들의 공격이 시작됐다. 이들은 온건파에 속한 것으로 알려진 의원들의 실명을 일일이 거론하면서 ‘다음 총선에서 반드시 낙선시키자’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트위터에 해당 의원 휴대전화 번호와 사무실 전화번호를 유포시켜 조직적으로 항의전화를 걸어 욕을 퍼붓기도 했다. ‘사이버 테러’에 놀란 해당 의원들은 “타협안 마련에 참여한 사실이 없다”고 발뺌했다. 민주당 의원 87명의 과반이 넘는 숫자였으나 결국 당론으로 채택되지 못했고, 어제 열릴 예정이었던 국회 본회의마저 무산됐다.

의원들뿐이 아니다. FTA 토론회에서 찬성 의견을 피력한 전문가들 역시 극성스런 반대론자들로 인해 점점 입을 다물고 있다. 소통의 도구인 SNS가 불통의 도구로 전락한 것이다. 자신만이 선(善)이고, 자신과 다른 입장은 무조건 악(惡)이라는 흑백논리와 독선 아집이 판치고 있다. 정상적인 토론은 생각조차 할 수 없다. 이러니 SNS를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 아닌가.

이들의 눈치를 살피며 입장을 하루아침에 번복한 정치인들도 한심하기는 마찬가지다. 진정으로 국익을 위해 필요한 일이라고 믿는 정치인이라면 겁박에 굴하지 말고 밀어붙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