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총 7·7 특별총회 개혁정관 유지돼야”… 9개 회원 교단 “실행위 개정 추진 절차에도 하자”

입력 2011-11-08 20:55

지난달 28일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실행위원회가 발의한 정관 개정(본보 10월 29일자 21면)과 관련해 한기총 소속 9개 교단이 공동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백석, 대신, 고신, 합신, 개혁, 예성, 기하성 여의도, 기하성 서대문 총회 임원들은 8일 서울 연지동 한국기독교회관에서 ‘한기총 정관 개정 대책 모임’을 갖고 현 정관을 원상회복 시켜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이들은 정관이 원상회복되지 않을 경우 회비 납부를 유보하고, 실행위 절차상 문제에 대해 한기총 집행부를 대상으로 법적 책임을 묻기로 했다.

9개 교단 임원들은 지난 7월 7일 열렸던 특별총회의 정관개정이 한국교회 앞에 내놓은 한기총의 약속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모든 회원들이 공감하는 가운데 통과된 특별총회의 정관을 3개월 만에 개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또 실행위 절차상에도 하자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사전에 정관개정 내용이 공지되지 않았고 회원 교단 총무의 회원권 이의제기 무시, 찬반토론 없는 회의 진행, 전례 없는 흠석사찰위원의 발언권 제지, 원로지도자 간담회가 정관개정을 위한 사전 모임 형식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들은 최근 한기총 내부의 인사문제와 기금 사용, 세계복음주의연맹(WEA) 총회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했다. 이들은 “WEA 총회를 개최하려면 한국교회 공 교단의 참여와 협력으로 진행되어야 함에도 어떠한 논의 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WEA 총회는 한국교회 공교단의 책임 있는 교계 지도자, 교단 총무단, 실무자, 신학자, 전문위원 등의 공적 논의와 참여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예장 통합 관계자는 “참석자들은 지난 실행위에서 정관 개정 시도에 대해 적극적인 반대를 표하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 한다”며 “한기총이 안고 있는 문제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9개 교단은 다음주 초반 이와 관련해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