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수도-영남권 의원 쇄신‘온도차’
입력 2011-11-08 21:58
한나라당을 양분하고 있는 수도권과 영남권 국회의원들이 당내 쇄신 국면에서 확연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한나라당 지역구 의원은 모두 146명으로 수도권 77명, 영남권 57명이다. 다른 지역 의원이 12명이다.
우선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이후 여권 쇄신을 주장하고 나선 의원 상당수가 수도권 출신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를 요구한 25명 서명파 의원 중 남경필 원희룡 임해규 정두언 의원 등 재선급 이상 4명을 포함해 16명이 수도권이다. 영남권은 초선이 8명이고, 강원 출신 초선은 1명이다. 서명파 의원들은 9일 쇄신의총에 앞서 친박근혜계 최다선인 홍사덕 의원과 오찬을 갖고, 2단계 행동 돌입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총선 물갈이론 역시 수도권 의원들이 주도하고 있다. 또 서명파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홍준표 대표 사퇴와 ‘박근혜 조기등판론’을 주장하는 의원들 대부분이 수도권 의원들이다. 반면 영남권 중진 의원들은 ‘대안부재론’을 들어 지도부 교체론 등에 회의적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에 대한 의견은 영남권이 더 강경하다. 반면 강행처리보다 야당과의 협상을 주장하는 온건파 중 상당수는 수도권 의원들이다.
수도권-영남권의 기류가 엇갈리는 것은 내년 총선을 앞둔 위기감의 수위가 다른 데다 박 전 대표 영향력의 지역차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수도권 한 초선 의원은 “박 전 대표까지 지원에 나서 친이명박계와 친박근혜계가 화합하는 분위기 속에 치러진 서울시장 보선에서 참패하자 수도권 의원들의 위기감은 최고조에 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10·26 재보선 영남지역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박근혜 영향력’이 재확인된 후 영남권에서의 박 전 대표 입김은 더 강화된 상황이다. 영남권 의원은 “역대 선거를 볼 때 수도권에서 불리할 경우 영남에서는 오히려 한나라당에 표를 몰아주는 현상이 계속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지도부 거취 문제만 놓고 볼 때 수도권과 영남권 온도차 역시 계파 대결 구도의 연장선이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한다. 황우여 원내대표에 이어 홍준표 대표를 옹립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쇄신파와 친박계가 상대적으로 친이계에 비해 지도부 책임론 제기에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