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사회적 약자 지원정책 잇따라 개발

입력 2011-11-07 19:07

‘인권도시’를 지향하는 광주시가 장애인과 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돌보는 각종 정책개발을 마련하고 있다.

7일 시에 따르면 인화학교 청각장애 학생들의 성폭력 사건을 계기로 각 복지시설에서 보호 중인 여성장애인들에게 비상용 호출단말기를 전원 지급하기로 했다.

다음달 지급될 목걸이 형태의 단말기는 성폭력 등 각종 범죄나 위급상황에 처한 여성장애인이 누를 경우 경찰청 112센터 및 가장 가까운 위치의 경찰관과 자동 연결된다.

시는 대당 가격이 10여만원, 월 사용료가 1만원인 이 단말기를 인지능력이 다소 떨어지는 40여명의 시설보호 여성장애인들에게 우선 나눠주고 반응이 좋으면 지급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시는 또 인화학교 사건을 다룬 영화 ‘도가니’ 상영 이후 그동안 형식적으로 실시되던 보육시설 등에 대한 현장점검 횟수를 연 2∼4회 이상으로 배 이상 늘리고 점검항목도 강화했다.

시는 앞서 청사 1층에 장애인 7명을 포함한 9명의 종사자가 운영하는 ‘이룸카페’를 개설했으며 기존 2석에 불과하던 시의회 본회의장 장애인 방청석은 15석으로 대폭 확대했다.

6월말 문을 연 이룸카페는 하루 평균 90여만원의 매출을 올려 장애인 일자리 창출의 모범사례가 되고 있다. 8월에는 교통약자인 노인들의 보행안전을 위해 노인보호구역을 확대 지정하고 휠체어 리프트가 장착된 교통약자 전용 특수승합차를 45대로 증차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전국 지자체 가운데 최초로 ‘인권담당관실’을 신설해 여성과 노인, 장애인, 다문화가족 등에 대한 각종 차별 철폐에 노력하고 있다.

강운태 시장은 “행정의 따스한 손길이 소외받기 쉬운 이들과 항상 함께하도록 앞으로도 세심한 정책을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