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재정긴축으로 선회
입력 2011-11-07 18:44
포퓰리즘에 영합하는 정책을 사용한다는 비판을 받아온 아르헨티나 정부 정책 방향이 선회하고 있다. 지난달 23일 재선에 성공한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인기 없는 정책이라도 필요하면 채택하겠다”며 과감한 정책 변환을 선언한 것.
아르헨티나 정부가 공공 서비스 분야에 대한 정부 보조금을 축소한 데 이어 본격적인 재정 긴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브라질 일간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르헨티나 경제는 올해 8%대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중국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부채가 늘긴 했지만 경제가 고성장을 거듭한 덕에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은 64.9%에서 37.9%로 낮아졌다.
하지만 잠재된 문제도 많다.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남편인 고(故)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전 대통령 정부 때부터 고(高)인플레이션에 시달려온 데다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빈곤층은 확대되고 있다.
아르헨티나 국립통계센서스연구소(INDEC)에 따르면 2001∼2002년 53%에 달했던 빈곤층 비율은 2007년 23.4%로 낮아졌다가 현재는 8.3%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민간 부문에서는 현재 빈곤층 비율이 20%가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에서는 35%까지 늘어났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또 INDEC는 1∼9월 누적 인플레이션을 7.3%로 발표했으나 민간에서는 24%로 보고 있다. 아르헨티나 노동단체들은 INDEC 수치가 조작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빈곤과 인플레 문제는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집권 2기에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숙제인 셈이다.
이에 아르헨티나 정부는 지난달 31일부터 기업과 개인이 달러화를 거래할 때 근거 서류를 제출토록 했다. 달러화 국외 유출을 억제하고 돈세탁을 막겠다는 것이다. 이어 지난 2일 대중교통과 에너지 등 공공 서비스 부문에 대해 지급해 오던 정부 보조금도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또 외신들은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1기 때와는 달리 ‘비즈니스 프렌들리’ 노선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양지선 기자 dyb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