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재창당 수준 변해야” 김문수 경기지사, 공천 물갈이 등 6가지 쇄신안 제시
입력 2011-11-07 21:49
여권의 차기 대선주자인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참패 후 내홍을 겪고 있는 한나라당에 재창당 수준의 쇄신을 촉구했다.
김 지사는 7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래한국국민연합 창립 1주년 기념 포럼에 기조연설자로 나와 “국회의원직을 포함한 모든 기득권을 버린다는 각오로 (쇄신에) 임해야 한다”며 여섯 가지 쇄신 방안을 제안했다.
김 지사는 우선 “‘비상국민회의’를 만들고 모든 권한을 줘 내년 총선과 대선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회의를) 안보·외교·경제·복지 전문가와 벤처기업인, 여성, 대학생, 농민, 노동조합, 온라인 전문가 등 외부 인사로 절반을 채우고 나머지는 당내에서 충원해 운영하라”고 제안했다. 비상대책위원회 성격의 이 기구에 당권을 넘기라는 뜻으로 사실상 현 지도부 퇴진을 요구한 것이다.
김 지사는 이어 대대적인 공천 ‘물갈이’를 주문했다. 그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쇄신은 인물쇄신, 공천혁명”이라며 “한나라당의 안전지대로 분류되는 서울 강남이나 영남 지역에서 50% 이상 대폭 물갈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회의원 등이 대중교통을 이용해 민생 현장을 순회하는 ‘민심경청단’과 ‘온라인 역량 강화’ 등의 방안도 제시했다.
김 지사의 발언이 당 쇄신과 관련해 강력하고 구체적이라는 점에서 일각에선 그가 대권 행보에 시동을 거는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에 대한 선호 등은 현재 당내 주인이 없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며 “대안을 제시하며 입지를 넓히려는 수순”이라고 말했다.
특히 김 지사가 연설에서 “한나라당이 과거 이회창 단수 후보로 안이하게 대처하다 두 번이나 대선에서 패했다”며 ‘박근혜 대세론’의 위험성을 강조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것이란 분석이다.
김 지사는 포럼을 마친 뒤 ‘당 쇄신이 안 되면 신당으로 가는 것이냐’는 질문에 “박세일 선진통일연합 상임의장도 있고 조만간 (신당 창당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나는 한나라당원”이라며 신당 합류 가능성은 배제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