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 4곳 영업정지… 저축銀 뺨치는 시한폭탄 무분별 확장에 경고 메시지

입력 2011-11-06 22:45


국내 대부업 이용자 10명 중 4명이 이용 중인 대부업체들이 6개월간 영업 전면 중단이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 여기에는 갈수록 커지는 대부업계가 저축은행 문제 못지않은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는 금융 당국의 시각이 반영돼 있다. 특히 적발 업체 중 한 곳은 몸집을 더 불리려 저축은행 인수에 나섰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에는 금융 당국의 경고 메시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무분별한 몸집 불리기에 제동=전국에 63개 지점을 거느리고 있는 업계 1위 대부업체인 에이앤피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는 지난 6월 말 기준 자산이 2조원에 달한다. 대부 잔액은 1조9899억원, 거래자 수 55만8000여명, 지난해 순이익은 1450억원이었다.

산와대부는 자산이 1조1100억원대, 거래자 수가 44만3000명에 이른다. ‘미즈사랑’과 ‘원캐싱’은 에이앤피파이낸셜의 계열사로 각각 자산이 1900억원대, 거래자 수가 7000~8000명 수준이다. 4개사를 합치면 거래자 수가 115만6000여명이다. 4개 업체 모두 일본계다.

에이앤피파이낸셜은 저축은행 인수에까지 나설 만큼 공격적이다. 2008년부터 양풍·예한울·예스·중앙부산저축은행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실패한 바 있다. 이어 지난달에는 대구 엠에스저축은행 인수를 위해 금융위원회에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요청하는 한편 예금보험공사에 프라임저축은행 패키지에 대한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다.

그러나 금융 당국은 에이앤피파이낸셜의 대주주 적격성 승인에 소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실명제법과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각각 벌금형과 과징금 처분을 받은 일 등 때문이다. 또 지난 한 해 대부업 대출금이 28% 급증하는 상황에서 업계의 무분별한 확장은 위험하다는 판단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광고 및 추가 대출 중단, 대출자는 약정대로=금감원은 대부업체에 대한 검사권을 가지고 있을 뿐 감독·제재권은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있다. 4개 업체의 본사가 서울 강남구에 있어 실제 영업정지 조치는 서울 강남구청이 내리게 된다.

영업정지 기간 중 4개 업체는 신규 영업활동은 물론 광고도 일절 할 수 없다. 케이블TV만 틀면 나오는 ‘산와~산와~산와머니’ ‘빨리십분 원캐싱’ 등 광고가 일제히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기존 대출자에 대한 추가 대출도 할 수 없다.

다만 대출을 받은 사람들은 정해진 이자와 원금을 약정대로 갚아야 한다. 대출 만기 연장도 가능할 전망이다.

이들 업체 이용자가 110만명이 넘는 만큼 현금 흐름 공백은 불가피하다. 일각에서는 저신용 대출 희망자들이 중소업체 또는 제도권 밖 사채업자에게로 밀려가 더 높은 금리를 감당하는 ‘풍선효과’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금감원은 “새희망홀씨, 햇살론 등 서민 금융상품과 공적중개기관(한국이지론)을 활성화해 서민 자금 지원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면서 “대부업체 검사를 통해 이자율 준수 외의 불법행위도 중점적으로 살피겠다”고 밝혔다.

황세원 기자 hws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