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아스콘 유해검사 확대해 공개하라

입력 2011-11-06 17:37

서울 월계동 주택가의 아스콘 방사능 검출 사태는 박원순 시장이 어제 현장을 찾아가 유사 포장도로에 대한 전면 조사를 벌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이곳에서 서울시 평균치 방사선량인 시간당 140나노시버트(nSv)보다 높은 3000nSv의 방사능 수치가 측정됐다는 신고가 들어온 지 한 주 만이다.

방사능 오염은 원폭 피해자가 국내에도 적지 않은 우리로서는 쉽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이라 시민들은 극히 미세한 방사능 검출에도 민감하기 마련이다. 특히 지난 3월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로 인한 피해가 기억에서 사라지지 않은 시기에 이번 일이 발생해 충격이 적지 않았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정밀조사 결과 이번 월계동 주택가 도로 2군데서 발견된 방사능 물질 세슘 137의 최대 방사선량 농도가 각각 1.4마이크로시버트(μSv)와 1.8μSv로 측정됐다고 한다.

최대 농도가 1.4μSv이고 평균 농도는 0.3∼0.5μSv에 불과해 하루 1시간 1년 동안 노출돼도 허용 권고치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지면에서 1m 떨어진 곳에서 측정해 환경운동연합의 측정치 3μSv보다는 낮게 나왔다고 한다.

문제는 방사능 물질의 출처가 아스콘에 섞인 폐자재일 가능성이 많다는 점이다. 아스콘은 아스팔트와 골재로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에 폐자재가 섞이기도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실제로 지난 4월 핵폐기물처리장이 건설되고 있는 경북 경주시 감포읍의 도로에서도 평균치 이상의 방사선이 검출돼 아스콘에 들어간 폐자재가 오염된 것으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추정하기도 했다.

따라서 관계당국은 아스콘에 대한 정밀검사를 실시해 사전에 이 같은 우려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방사능 방출 원인 규명을 위한 유해검사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값은 다소 비싸지만 안전성이 높은 에코팔트를 도로공사에 이용할 필요성도 있다. 아스콘이 방사능을 배출하는 주범인 것은 어느 정도 드러난 만큼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제조업체에 대한 감시 감독도 강화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