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잇단 의심신고에 가슴철렁… 구제역 공포 “재발 막아라”

입력 2011-11-04 18:12


구제역 의심신고가 잇따르자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구제역 재발 방지를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지난달 31일과 지난 3일 경북 포항과 안동의 한우 사육농가로부터 접수된 구제역 의심신고는 검사 결과 ‘음성’으로 판명됐지만 동절기를 앞둔 축산 농민들은 지난겨울의 구제역 악몽을 떠올리고 있다.

지난해 구제역 발원지였던 경북도는 매달 소 1만5000마리와 돼지 17만 마리에 대해 구제역 예방백신을 접종해 ‘원천 봉쇄’에 나서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소의 경우 생후 2∼3개월 송아지에 백신을 접종하고 6개월 후 재차 접종을 실시한다. 돼지는 생후 두 달짜리 새끼와 분만 3∼4주 전인 어미돼지와 임신한 돼지가 접종 대상이다.

도는 축산 농민이 소와 돼지 등을 거래 또는 출하할 때 예방접종 확인서를 반드시 지니도록 하고, 백신접종을 확인하는 ‘SP(백신)항체 모니터링 검사’도 실시하고 있다. 또 지난 7∼10월 3차례 백신접종이 제대로 됐는지 점검했다. 매달 담당 공무원이 축산 농가를 직접 찾아가 확인하는 ‘예방접종 실명제’도 운영 중이다.

강원도는 내년 4월까지 도청과 가축위생시험소, 18개 시·군 등 24곳에 구제역 방역대책상황실을 설치 운영하기로 했다. 횡성군은 전체 한우 농가에 철저한 소독을 당부하는 한편 횡성한우 5만1208마리에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등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최근엔 구제역 예방접종을 소홀히해 항체 형성률이 60%(돼지 기준) 미만으로 확인된 원주 2곳, 횡성 2곳, 고성 1곳 등 양돈 농가 5곳을 적발하는 등 농민들의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정선군도 대책반을 편성하고 전 축산 농가 1465가구에 전화예찰과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등 ‘구제역 청정지역’ 사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구제역이 비켜갔던 전남도도 ‘동물복지형 사육환경 개선대책’을 일선 시·군에 내려 보내 예방을 당부했고 농가에서 가축을 입식할 때는 소독증명서를 발급하고 있다.

충남·충북도 역시 ‘구제역 방역 종합대책’을 마련, 방역본부 등 현장기동팀을 운영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경기도는 국내 처음으로 구제역 가축 이동식 소각기를 영국에서 들여와 지난 8월부터 시험가동 중이다.

김윤한 안동시 축산진흥과장은 “지난해 말부터 구제역 예방백신 접종이 실시돼 질병이 대규모로 발생할 가능성은 비교적 낮지만 예방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면서 “매몰지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안동·춘천·무안=김재산·박성은·이상일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