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식 대선 캠프는 없다” 친박계, 소통 강조하는 오바마식에 무게
입력 2011-11-03 17:58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최근 일자리 정책을 내놓는 등 사실상 대권행보에 나서면서 대선 캠프가 언제, 어떤 모습으로 꾸려질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친박근혜계 최다선(6선)인 홍사덕 의원은 3일 대선캠프와 관련, “종전 개념의 캠프는 없을 것”이라며 “단언하건데 의원들을 잔뜩 모아놓는 식의 캠프는 책임지고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0∼40대 민심과 박 대표가 직접 상대하며 소통하는 식의 캠프로 가야 한다”며 “이들이 자유롭게 놀 수 있는 일종의 놀이터 개념으로 만들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좋은 본보기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선거 캠프를 꼽았다. 홍 의원은 “오바마 대선 캠프는 인종, 연령 구분 없이 누구나 들어와 소통하기 쉬운 구조로 온·오프라인 캠프”라며 “우리도 그런 방식으로 가야 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생각이 구체적으로 정리되면 박 전 대표에게도 공식 건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친박계 내부에선 캠프를 조직·상황·비서·공보 등 기능별로 구분한 후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고비용 구조의 과거식 캠프를 탈피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다. 한 인사는 “‘캠프 비용을 누가 가장 많이 썼다’, ‘누가 사람을 많이 끌어모았다’식의 무용담만 만드는 과거식 캠프는 박 전 대표가 대통령으로 당선된 뒤에도 부담으로 남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식의 캠프 운용으로는 ‘표의 확장성’에도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있다. 과거식 캠프 중심의 선거 캠페인은 박 전 대표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젊은층을 공략하는 데 전혀 효과를 못 낸다는 얘기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연동된 사이버 캠프를 통해 젊은이들이 자연스럽게 박 전 대표와 토론하는 형식의 온라인 캠프의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한편 친박 성향 권영세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선 후보는 대선 1년6개월 전부터 선출직 당직을 못 맡는다는) 당헌·당규를 바꾸거나 비대위 체제를 띄워서라도 박 전 대표를 전면에 나서게 해야 한다”며 당 안팎의 ‘박근혜 조기 등판론’에 가세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