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스탄 종교상황 악화… 교회 등록 거부 사례 잇달아

입력 2011-11-03 17:30

지난달 30일 대선을 통해 새로운 키르기스스탄 정부가 등장하면서 종교상황이 더욱 악화돼 선교사들이 세운 교회들이 어려움에 처했다.

키르기스스탄에서 활동 중인 강형민 선교사는 3일 본보에 이메일을 보내 “새로운 정부가 이슬람교와 러시아정교 이외의 모든 종교는 이단으로 몰아갈 것 같다”면서 “키르기스스탄 교회를 위해 기도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번 대선에서 총리였던 알마즈벡 아탐바예프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됐다. 아탐바예프 대통령은 친러 성향의 정치인으로 대선에서는 이슬람 재정을 끌어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키르기스스탄의 모든 종교는 3년 전 개정된 종교법을 준수해야 한다. 종교법은 모든 교회가 정부에 등록해야 하며 외국인이 세운 교회도 3년만 활동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재등록 과정에서 거부당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강 선교사는 “종교법 시행 3년이 지나면서 선교사들의 입지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며 “많은 교회들이 재등록을 받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라고 안타까워했다. 강 선교사의 교회는 재등록 신청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종교청을 상대로 소송을 냈다. 하지만 승소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외국 종교단체의 등록을 받아줄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게 현지 분위기이다.

강 선교사는 “정부 방침은 결국 교회 문을 닫게 하겠다는 의도”라며 “어느 때보다 한국교회의 기도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현재 선교사들이 세운 교회는 특별기도회를 하는 한편 정부기관에 도움을 청하고 있다. 일부 성도는 교회에 어려움이 생기면 정치적 망명을 고려하며 끝까지 믿음을 지키려 한다고 강 선교사는 전했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