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인 사건’ 100년… 日帝 개신교 압살 음모를 파헤친다
입력 2011-11-03 20:41
일제강점기 당시 교회는 일본이 식민지 조선을 통치하는 데 큰 걸림돌이었다. 서구 열강과 힘겨루기를 해야 했던 일본으로서는 미국·영국 등 각국에서 파견된 선교사들이 한국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불편해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11년 ‘105인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일제가 서북지방의 기독교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신민회 회원을 검거하고 모진 고문을 자행한 뒤 105명을 기소한 것을 말한다.
한국기독교역사학회와 한국기독교역사연구원은 5일 ‘105인 사건의 재조명’이란 주제 아래 학술 심포지엄을 갖는다. 105인 사건을 중심으로 선교사의 역할과 해외선교본부의 인식, 사건 당시 체포됐던 인사들의 이후 행적들이 논의될 예정이다.
심포지엄 발제문에 따르면 105인 사건의 또 다른 당사자였던 내한 선교사와 해외 선교본부의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김승태(세계선교신학대) 강사는 “105인 사건은 일제가 조작한 것으로, 한국에서 활동하던 선교사들도 전혀 예측하지 못한 사건”이라며 “이에 선교사들은 총독부 관리들을 찾아가 구속자들을 변호했으며, 마펫·에비슨·휘트모어가 선교사 대표로 데라우치 총독을 직접 면담해 선교사들의 견해를 전달했다”고 밝힌다. 그는 또한 “영국 선교연합회가 영국 주재 일본대사관에 찾아가 이 사건에 대해 공정한 처리를 요구하는 등 (선교본부가) 국제 여론으로 일본에 압력을 행사했다”며 “그 결과 일제는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105인 가운데 99명은 무죄를, 6명은 유죄를 선고받았다”고 설명한다.
이성전(일본 게이센여학원대학 대학원) 교수는 105인 사건과 관련해 선교사와 선교본부가 취한 태도에 대해 문제점을 제기한다. 이 교수는 “긴박한 상황에서 선교부가 취한 방책은 ‘정치불개입’의 원칙으로 식민지 권력의 합법성을 승인한 거나 마찬가지다”고 주장한다.
이 밖에도 윤경로(한성대) 교수는 ‘105인 사건 피의자들의 사건 이후 행적에 대한 소고’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류대영(한동대) 안교성(장신대) 이준식(연세대) 교수는 논찬자로 참석한다.
심포지엄을 마련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류대영 회장은 “(105인 사건에) 선교사들이 연루됨에 따라 미국 교회와 국무부, 각 선교본부 등이 각기 다양한 관점에서 이 사건에 대응했다”며 “그런 점에서 이번 심포지엄은 과거를 돌아보아 오늘을 이해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양민경 기자 grie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