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관 北 통과 위험 책임지겠다”…메드베데프, 한·러 정상화담서 밝혀

입력 2011-11-03 00:36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이 남·북·러 가스관 연결 문제와 관련, 러시아가 가스관의 북한 통과 위험을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3국 가스관 연결 사업의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과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그랜드유럽 호텔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가스관 사업이 남·북·러 3국 모두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란 점에 공감하며 이 사업이 실현되도록 긴밀히 협력키로 합의했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북한의) 두 차례 도발로 북한을 통과하는 가스관 안전성에 걱정이 많은 것도 사실”이라며 “핵 등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러시아 측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한국 측이 걱정하는) 가스관의 북한 통과 위험은 우리가 다 책임지겠다”면서 “북한이 가스관 사업에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북핵 문제가 해결된다면 러시아 북동지역의 잉여 전력을 북한을 경유해 한국에 공급하는 사업도 검토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 대통령은 3일부터 프랑스 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한편 한국가스공사와 러시아 국영 가즈프롬이 지난 9월 양해각서를 통해 2013년 가스관 건설 공사에 들어가고 2017년 1월부터 가스 공급을 시작한다는 일정에 합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니콜라이 두빅 가즈프롬 법무실장은 이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제2차 한·러 대화 KRD 포럼’에서 주강수 한국가스공사 사장과 알렉세이 밀레르 가스프롬 사장이 서명한 가스관 사업 로드맵을 공개했다. 양측은 내년 1월까지 가스 공급가격 등 기본 협상을 마치고 4월까지 공급 협정을 체결키로 했다. 이어 9월까지 가스관 노선 설계를 끝내고 건설 공사를 시작해 2016년 12월 완공한다는 것이다. 가스 공급 시점은 2017년 1월로 돼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가스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 사업을 서두르고 있는 러시아의 희망이 담긴 로드맵”이라며 “법적 구속력은 없고, 정작 중요한 건 북·러 간 협상”이라고 언급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