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한·미 FTA 대치] 한나라 22인, 비준동의안 직권상정때 행보 관심

입력 2011-11-01 18:22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둘러싸고 여야 대치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른바 한나라당 ‘성명파’ 22명 의원들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비준동의안의 국회의장 직권상정 수순을 밟고 있는 한나라당이 표결을 강행할 경우 이들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가 핵심 변수로 떠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22명 의원은 지난해 12월 새해 예산안 강행 처리에 대한 자성을 하며 “의원직을 걸고 국회에서의 모든 강행 처리에 동참하지 않겠다”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4선의 황우여 남경필 의원, 3선의 이한구 권영세 정병국 의원, 재선의 신상진 임해규 진영 의원, 초선의 구상찬 권영진 김선동 김성식 김성태 김세연 김장수 성윤환 윤석용 정태근 주광덕 현기환 홍정욱 황영철 의원 등이 동참했다. 이후 각각 원내대표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이 된 황 의원과 남 의원은 정부의 조속한 처리 요구에도 한·미 FTA 강행 처리를 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고수하며 여야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행보를 이어왔다.

한나라당은 소속 의원이 168명으로 성명파가 전원 표결에 불참할 경우 본회의 처리에 필요한 의결정족수(148명)를 단독으로 확보하지 못한다. 자유선진당(18석), 미래희망연대(8석) 등 보수 성향 정당의 도움이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얘기다.

현재 성명파 의원 간에 입장차가 있다고 한다. 김세연 의원은 1일 “몸싸움 여부와 관계없이 강행 처리 자체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원과 몸싸움만 안 하겠다는 의원, 개인 소신보다 국익이 우선이라며 (표결에 참여하고) 불출마까지 불사하겠다는 의원 등 입장이 조금씩 다르다”고 전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