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노총, 노사상생의 이정표 세우길

입력 2011-11-01 20:12

제3노총인 국민노총이 1일 설립총회를 갖고 발족했다. 국민노총은 2일 고용노동부에 설립신고서를 내고 신고필증이 나오면 공식 활동에 돌입한다. 국민노총에는 전국지방공기업노조연맹 등 전국 규모의 6개 산별노조와 서울지하철노조 등 단위노조 100여개가 참여했다. 국민노총의 출범으로 노동계에 일대 변화가 휘몰아칠지 주목된다.

국민노총은 출범 선언문을 통해 상생과 협력의 선진노사문화 구현, 기업의 투명성 확대를 통한 사회적 책임 실현,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마련 등을 천명했다. 정연수 국민노총 초대 위원장은 “노동운동의 도덕성을 회복하고 사회봉사와 사회공헌을 통해 노조의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한편 노조가 생산성 제고와 기업 발전의 주축 세력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노동계의 이념대결과 정치투쟁에 염증을 느껴온 국민들은 국민노총의 행보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 국민노총이 국민들의 지지와 성원을 얻으려면 초심을 잃지 말고 출범 선언문에서 밝힌 취지를 적극 실천해야 한다. 조합비 유용, 사원 채용 비리, 귀족노조 등 기존 노조들의 악습도 과감히 청산해야 할 것이다. 노사상생을 추구하는 현대중공업 KT 등 대기업 노조들을 끌어안아 3만여명에 불과한 조합원 수를 대폭 늘리는 것도 급선무다. 그래야 명실상부한 노동계의 대안세력으로 부상할 수 있다.

그동안 노동계를 양분해온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국민노총의 출범을 폄하만 하지 말고 뼈를 깎는 반성과 혁신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우리나라 노조 조직률이 10.1%에 불과하고, 전체 노조원 수가 164만명으로 줄어든 데는 양대 노총의 책임이 크다. 복수노조 도입 이후 신설된 노조의 80% 이상이 독립노조로 남아 있을 정도로 양대 노총은 설 땅을 잃고 있다. 걸핏하면 불법파업을 일삼고 정치투쟁에 골몰한 탓에 노동자들이 외면한 것이다.

양대 노총은 온건주의를 표방하며 뒤늦게 출범한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가 급진적 노동운동을 벌여온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를 압도한 사례를 명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