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빚 크게 늘었다… 연체율 2년째 상승
입력 2011-10-30 18:24
지난해 이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 중 40% 가까이는 연소득 2000만원 미만의 저소득계층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금리 수준도 저소득계층이 6000만원 초과의 고소득계층보다 30% 이상 높아 경기침체기에 취약계층의 가계부실이 우려된다.
한국은행은 30일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가계수지 악화로 저소득자의 대출 수요가 늘면서 부실 확대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저소득계층 대출증가액 비중 37%=보고서에 따르면 저소득계층에 대한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전체의 12%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들이 2010년 상반기∼2011년 상반기 총 대출증가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7%에 달한다.
정부의 서민금융 지원이 확대된 원인도 있지만 가계수지 악화로 인한 생활형 차입 수요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하위(1∼2분위) 소득계층의 소비성향(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중)이 높아지면서 흑자율(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 비중)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최하위계층인 1분위의 경우 올 상반기 소비성향은 134%로 2009년 하반기(128%)보다 높았고 소득 적자폭이 28%에서 34%로 확대됐다.
문제는 소득에 의한 채무상환 능력이 낮은 저소득층의 대출금리 수준이 고소득계층보다 높아 연체발생 위험이 크다는 점이다. 6월 말 기준 저소득계층의 은행권 신용대출금리는 10.4%로 고소득계층(7.8%)보다 훨씬 높다. 저소득계층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 7월 말 기준 0.7%로 2009년 말(0.4%), 2010년 말(0.5%)에 이어 2년 연속 상승 중이다.
◇다중채무 비중 커져 금융시스템 부담 요인=저소득계층의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비은행권 가계대출이 늘어나는 점도 한은이 우려하는 부분이다. 신용등급 중하위계층(5등급 이하)의 총 대출 중 비은행권 비중은 2007년 말 51%에서 지난 6월 말 56%로 높아졌다.
또 비은행권 차입자이면서 은행권 등에 대출이 있는 다중채무 비중이 57%에 달하고 있어 비은행권역에서 발생한 부실이 은행권으로 전이될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