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정치 대안 떠오른 시민단체] SNS 활용은 ‘양날의 칼’

입력 2011-10-30 18:20


10·26 재·보궐선거를 통해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위력을 다시 한번 실감한 시민단체들은 SNS 활용법 모색에 골몰하고 있다. 참여의 폭이 넓어지면서 시민운동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시민운동의 중심축이 SNS에 밀릴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공존한다.

이태호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30일 “SNS에서는 누구나 원 오브 뎀(One of them)에 불과하다. 정당이든 시민단체든 대의기구는 힘을 잃을 것이고, 기득권은 중요하지 않다. 누가 어떤 이슈를 만들어내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 처장은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나는 꼼수다’를 예로 들며 “인터넷 라디오방송에 불과했지만 SNS와 연동하면서 선거에 큰 영향력을 발휘했으며, ‘나경원 1억원 피부관리 논란’을 제기하고 ‘이명박 대통령 사저 논란’을 증폭시켰다”고 덧붙였다. 2000년 16대 총선 때 박원순 시장이 참여연대를 이끌며 ‘낙천낙선운동’을 펼 때만 해도 시민들이 호응하던 형식이었지만 이제는 시민들이 의제를 설정하면 시민단체가 따라가는 방식으로 바뀔 수 있다는 위기감이 배어있다.

시민단체 활동가와 전문가들은 결국 콘텐츠라고 입을 모은다. 윤준하 환경운동연합 고문은 “고유의 전문성을 살려 실생활에 파고드는 이슈를 만들어내는 단체는 SNS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면서 “최근 4대강 공사현장에서 석면이 검출된 것을 환경단체들이 집중적으로 제기하면서 SNS에서 호응을 얻은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설명했다.

박상필 성공회대 NGO 대학원 교수는 “SNS는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운 매체로 시민단체와 궁합이 잘 맞는다”면서 “권력 감시기능과 함께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창안하고 실생활에 접목시키는 생활밀착형 시민단체로 거듭난다면 SNS 시대와 더불어 또다시 전성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