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先 민심수습-後 인적개편”… 젊은 세대 뜻 정책 반영이 우선

입력 2011-10-28 18:46

이명박 대통령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을 우선적으로 정책에 반영하겠다며 ‘선(先) 민심수습, 후(後) 인적개편’ 방침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28일 청와대에서 임태희 대통령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참모들에게 이 같은 방안을 강구할 것을 지시했다고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다.

이에 따라 임 실장이 서울시장 보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이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하면서 불거진 청와대 인적 개편론은 당분간 수면 아래로 잠복하게 됐다. 이 대통령이 선거 후 대책 방향을 이같이 결정한 것은 자칫 인적 개편론이 여권 내 분열을 낳을 수 있다는 염려와 함께 지금 당장의 과제는 민심을 추스르는 데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최 수석은 “지금 이 시점에서 대통령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참모진의 개편보다는 재보선 투표에 투영된 민심을 어떻게 정책으로 구현할지가 우선”이라며 “젊은 세대의 뜻을 어떻게 반영할지 대통령도 대단히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날부터 매일 임 실장 주재로 수석비서관 회의를 열어 2030 세대들과 공감할 수 있는 정책 방안 마련과 경제위기 비상대책을 논의키로 했다.

최 수석은 또 임 실장의 사의 표명에 대해 “참모는 사표를 제출한다고 해서 자리에서 면한다든지 하는 위치가 아니다”면서 “임 실장은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는 각오를 분명히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날 밤 임 실장의 사의 표명 소식이 알려지자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저녁 늦게 임 실장과 김효재 정무수석을 만나 “선거는 당에서 치렀는데 왜 대통령실장이 사의를 표명하느냐”고 만류했다는 후문이다.

최 수석은 “민심을 반영한 뒤 언제라도 개편에 나설 수 있는 것 아니겠느냐”면서 “앞으로 젊은 세대들과 공감하는 자리를 많이 만들도록 대통령에게 건의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청와대와 여권 내부에서는 비록 이 대통령의 지시로 인적 개편론이 일단락됐지만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