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단만 잡나… 감찰·징계에 경찰 볼멘소리

입력 2011-10-26 18:16

경찰청은 26일 ‘변사 시신 안치 순번제’를 도입해 경찰과 장례식장의 유착 비리를 근절키로 했다.

경찰은 변사자의 유족이 확인되면 유족이 원하는 장례업소로 운구하고, 유족 확인이 어려운 경우 일정한 요건을 갖춘 장례업소 중 순번을 정해 맡기기로 했다. 지역별 실정을 감안해 권역을 설정하고 권역 내 장례식장 가운데 요건을 갖춘 곳의 업주와 간담회를 실시해 운구 순번을 정할 계획이다.

사건담당 형사(강력)팀장이 시신 안치 기록을 유지하면서 운구를 부당하게 거부하거나 변사체를 선별적으로 받는 업소, 장례 관련 불법행위로 형사처벌된 업소는 순번에서 빼기로 했다. 최근 서울 구로·영등포 경찰서 소속 일부 경찰관이 대림동의 한 장례식장으로부터 뒷돈을 받고 변사 시신을 몰아준 사실이 검찰 수사로 적발된 뒤 나온 조치다.

서울지방경찰청은 박모 용산서 경비과장이 지난 25일 식당에서 술을 마시고 휴대용 무전기 2대를 분실한 사실을 확인, 지방청 교통보도대로 인사조치하고 감찰 조사 후 징계키로 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10·26 재보선 관련 비상근무 기간을 감안해 이같이 조치했다”고 말했다.

경찰이 고강도 감찰과 함께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회의적인 반응이 많다. 조현오 경찰청장이 무더기 징계로 책임자들을 단죄하자 “아랫사람에게만 책임을 떠넘긴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장례식장 비리와 관련해 영등포·구로·관악 경찰서 소속 형사과, 지구대 경찰관들은 최근 6개월간 휴대전화 통화내역 조회 동의서를 써야 했다. 형사들은 “실태 파악을 위한 것이라지만 너무 한 다”고 토로했다.

조 청장이 조폭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총기를 과감하게 쓰도록 지시한 것에 대해서도 일선에선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반응이 많다. 서울 지역 한 경찰관은 “결과가 좋으면 본전이지만 혹시라도 사고가 나면 혼자 책임져야 하는데 누가 쉽게 총을 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조 청장이 적극적인 총기 사용을 독려한 것은 올해 들어서만 세 번째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