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납북자 생사확인·송환 적극 나설 때
입력 2011-10-23 17:44
‘6·25 납북자를 잊지 말자’는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김황식 총리와 각부 장관들이 ‘6·25 전쟁 납북인사 가족협의회’가 지난해부터 배포 중인 하늘색 물망초 꽃 모양의 배지를 달고 20일 국회 본회의 대정부질문에 나서면서부터다.
‘6·25 전쟁 납북인사 가족협의회’는 6·25 전쟁 중 강제 납북된 인사들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생사확인과 송환을 위해 오래전부터 활동을 해왔으나 여론의 주목을 전혀 받지 못했다. 1984년 법률로 연좌제가 폐지되기까지 납북자 가족들은 당국의 감시와 압박은 물론 취업제한을 받는 등 정신적 물질적 고통을 당했다. 정부는 6·25 납북자 명부가 국립도서관에서 지난 2002년 발견되기까지 ‘명단이 없다’며 그 책임을 방기해 왔다.
정부는 지난 4월 ‘6·25 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위원회’를 구성하고 그 가족들로부터 신고를 받고 있다. 이 위원회는 8월 처음으로 신고 접수된 사람 가운데 55명을 6·25 전쟁 중 민간인 납북자로 인정했다. 그들이 납북된 지 61년 만의 일이다. 이런 일련의 작업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국민은 이런 활동이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다. 그만큼 홍보가 부족했다.
납북인사 가족 협의회의 노력을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이 받아 각부 장관들에게 배지를 전달하는 등 관심을 확산시키면서 6·25 전쟁 중 민간인 납북자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새롭게 고조되고 있는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늘 그렇듯 반짝 관심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6·25 전사자 5000원 보상 문제가 지난 4년 전 제기됐으나 유야무야됐던 일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국가가 국가로서의 역할을 다하려면 군인을 포함해 자국민을 끝까지 보호하는 의무를 다해야 한다. 역대 정부는 납북 자국민에 대해 소홀히 했고 이로 인해 국민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었다. 이제라도 정부는 ‘6·25 납북인사들을 기억하고 생사확인 및 송환을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는 의지를 확실히 보여주어야 한다. ‘나를 잊지 말아 달라’는 납북자들의 절규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