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보 4곳 동시 개방] 백로 알·가야토기 등 형상화… 지역 랜드마크로 뜬다

입력 2011-10-21 18:42


사상 최대 하천 정비사업인 ‘4대강 살리기 사업’이 막바지 단계로 접어들었다. 2009년 11월 기공식 이후 23개월 만이다. 정부는 본류 구간 공사 완료를 앞두고 22일 4대강의 대표 보(洑) 4곳에서 동시에 ‘4대강 새물결맞이 행사’를 개최하며 사실상 준공을 선언한다.

21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 본류 정비사업 공정률은 지난 13일 현재 92.6%다. 4대강 지류를 포함한 전체 공정률은 84.8%. 당초 계획대로 본류 사업은 올해 안에, 전체 사업은 내년에 마무리된다. 강물을 저장하는 총 16개 보의 건설은 대부분 마무리됐다. 지난달 24일 금강 세종보 개방을 시작으로 다음 달 26일 낙동강 달성보까지 순차적으로 개방된다.

총예산 22조2000억원의 4대강 사업은 초고속으로 진행됐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사업 추진 결정(2008년 12월)에 이어 마스터플랜 발표(2009년 6월),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영산강 승촌보 기공식(2009년 11월 22일)까지 채 1년이 걸리지 않았다. 그 사이 정부 합동보고대회, 지역설명회, 전문가 자문, 공청회, 환경영향평가가 속전속결로 진행됐다.

정부는 4대강 사업 성공을 자신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준설로 4대강 본류 수위가 2∼4m 낮아졌다. 올 여름 장마철에 발생한 본류 주변의 농경지·가옥 침수피해 규모가 강수량이 비슷했던 1998년과 2006년 대비 10분의 1(1041억원)로 줄었다. 16개 보에 설치된 수력발전기에선 경북 경주시민이 한 달간 사용할 수 있는 27만여㎿h의 전기가 매년 생산돼 공급된다.

강변을 따라 새로운 관광지와 야외활동 공간도 조성됐다. 16개 보는 제각각 독특한 형태로 건설돼 지역 랜드마크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16.6배(139㎢) 규모로 마련되는 생태친수공간에는 생태공원, 캠핑장, 요트장 등 각종 레저시설이 들어서 국민의 여가활동에 쓰일 계획이다. 자전거도로는 전국을 종주할 수 있다.

보와 중소형 댐 건설, 농업용 저수지 증고(높이 증가) 등으로 확보되는 13억㎥의 수자원은 향후 물 부족 상태와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가뭄의 해결사 역할을 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 관계자는 “수질 개선 효과는 당장 정확히 측정할 순 없지만 내수면 어업자들이 ‘물고기가 많아지고, 씨알이 굵어졌다’고 말한다”며 “과거 경부고속도로나 고속철도 건설 때도 환경파괴, 예산낭비 등의 비판이 심했지만 완공 후엔 자랑거리가 됐다. 4대강 사업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속도전을 방불케 하는 사업 추진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공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업 현장엔 일평균 1만2000여명의 인력과 1500대가량의 덤프트럭 등 건설장비가 거의 24시간 가동됐다. 공사를 밤낮없이 강행한 여파로 사망 20명, 실종 1명을 포함해 38명의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게다가 4대강 본류 사업을 끝낸 뒤에도 ‘포스트 4대강’ 사업에 천문학적인 돈이 든다. 강을 정비하는 것은 나쁠 게 없지만 국가재정도 여의치 않은데 4대강에 집착해 이렇게 많은 돈을 투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는 지난 4월 지류·지천 정비사업에 2015년까지 20조원의 추가예산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4대강과 연결된 지방하천 412곳과 도랑과 실개천 정비에 드는 추가 비용이다. 국토부가 지난 국정감사에서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4대강 외 지방하천에 2018년까지 11조3370억원(국가 60%, 지자체 40%), 4대강 외 국가하천에 2020년까지 3조7000억원 등 약 15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환경부의 4대강 수질개선 사업에도 2015년까지 10조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여기에 4대강 유지관리비는 연간 2400억원(환경단체는 5800억원 추정)이 더 들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따라서 정부가 인정하고 있는 4대강 사업 후속 비용만 해도 2020년까지 30조원을 넘는다.

김정현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