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신용강등에 그리스 총파업까지 ‘휘청이는 유로존’ 어찌할꼬…
입력 2011-10-20 00:49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이 잇단 신용등급 강등 폭탄에 휘청거리고 있다. 이 와중에 그리스는 19일(현지시간) 48시간 총파업에 돌입해 국가 기능이 마비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18일 스페인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 Aa2에서 A1으로 두 단계 내리고 전망은 ‘부정적’으로 제시했다. 피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지난 7일과 14일 각각 한 단계, 두 단계 하향 조정했다. 또 S&P는 지난달 이탈리아 7개 은행의 신용등급을 낮춘 데 이어 이날 24곳을 추가 강등했다.
그리스와 포르투갈 상황도 악화되고 있다. 그리스 공공 및 민간 최대 노조 등은 20일로 예정된 새 긴축안 의회 표결을 앞두고 48시간 총파업에 들어갔다. 공공서비스 중단은 물론 상점들도 문을 닫아 이미 도심 기능은 마비된 상태다. 그리스 정부는 1차 구제금융의 6회분인 80억 유로를 받지 못하면 국가 부도가 불가피하다며 긴축안 승인을 촉구하고 있지만 반발이 거세다. 긴축안엔 세금 인상과 연금·임금 삭감, 공무원 3만명 감축 등이 포함됐다. 올리 렌 유럽연합(EU) 경제·통화 담당 집행위원은 “포르투갈은 올해 재정적자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데 위험 요소가 있다”고 지적했다.
위기 해법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EU 관계자의 말을 인용, 독일과 프랑스가 4400억 유로인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에 보증 기능을 넣어 2조 유로까지 지원 규모를 키우는 데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EU 당국자들은 “사실과 다르다”며 보도를 부인했다.
프랑스 측은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23일 열리는 EU 정상회의를 앞두고 전화 회의를 통해 유럽 채무위기 해결 방안을 조율할 것이라고 밝혔다. 어떻게든 유로존 붕괴는 막겠다는 것이다.
한편 EU는 금융위기의 원인으로 비난받아 온 공매도 금지 법안에 합의했다. 공매도는 ‘없는 걸 판다’란 뜻으로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 주문을 내는 것을 말한다. 국채 부도에 대비하는 지급보증 상품인 크레디트디폴트스와프(CDS)도 금지 대상에 포함됐다.
김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