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내곡동 사저 백지화] 연평도·전용기 회항 땐 버텼는데… 김인종 세번째 위기에 낙마?
입력 2011-10-17 18:27
내곡동 사저는 청와대 경호처 주도로 추진됐다. 역대 정권마다 퇴임 후 거처를 준비해 온 ‘노하우’가 있어 청와대 다른 부서에선 이번 추진 과정에 거의 개입하지 않았다고 한다. 김인종 경호처장이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것도 이 때문이다. 내곡동 사저 논란이 불거진 지 열흘 만이다.
육군 대장(육사 24기) 출신인 김 처장은 이명박 대통령과 임기 끝까지 함께할 ‘순장조’ 1순위로 꼽혔다. 대선 때 예비역 장성 국방정책연구 모임인 ‘서초포럼’을 이끌며 이 대통령의 국방 공약을 조언해 신임을 얻었고 경호처장이 돼 두 차례 ‘고비’를 맞았지만 모두 무사히 넘겼다.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직후 ‘확전 자제’ 메시지를 대통령 뜻으로 청와대 대변인에게 전달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사퇴 압력을 받았고, 지난 3월 아랍에미리트연합(UAE)으로 출발한 대통령 전용기가 기체 결함으로 회항하는 초유의 사태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대통령 신임은 변함이 없었다.
이 대통령이 김 처장의 사의를 수용할지는 분명치 않다. 그러나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가 공개적으로 경질을 요구한 터라 사표가 수리될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 안에서도 “사저 논란이 전 재산을 내놓은 이 대통령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혀 문책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내곡동이면 경호원 교육훈련에 청와대나 경찰청 시설을 활용해도 되는데 굳이 경호처가 훈련시설을 따로 짓느라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많은 648평이나 매입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내곡동 사저 계획을 최종 결정한 것은 이 대통령이었다. 아들 시형씨가 전면에 나섰고, 부인 명의 땅이 대출 담보로 쓰였으며 부지 매입 직전 직접 이곳을 둘러보기도 했다. 비교적 신속한 백지화 결정 배경에는 이 대통령이 직접 관여했다는 점도 작용했으리란 관측이 나온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