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서 731부대 만행 극비문서 발견 “세균전 피해자 2만6천명”
입력 2011-10-16 18:36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 포로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생체실험을 벌였던 일본군 세균부대 731부대의 피해자가 2만6000명에 달한다는 극비문서가 일본에서 발견됐다.
일본 시민단체인 ‘731부대의 실체를 밝히는 모임’은 15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중일전쟁에서 세균 무기를 6차례 작전에 사용해 1차 감염자와 2차 감염자가 2만5946명에 이른다’는 내용의 극비문서를 공개했다고 도쿄신문이 보도했다.
이 문서는 교토(京都)의 국립국회도서관 간사이(關西)관에 보관돼 있는 731부대 관련 자료로, 육군 군의학교 방역연구실에 근무하던 군의관의 극비보고서다. 해당 군의관은 2차 세계대전이 종료된 뒤 대형 제약회사에 근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엔 731부대가 1940∼42년 사이 중국 지린성(吉林省), 저장성(浙江省), 장시성(江西省) 등에서 페스트균에 감염된 벼룩을 살포했을 때의 일시와 그 양, 감염자 수 등 구체적인 기록이 담겨 있었다.
만주를 점령한 일본 관동군 방역급수부 731부대는 1932년부터 45년까지 인간을 ‘마루타(丸太)’라고 부르며 생체를 이용해 해부실험과 냉동실험 등을 자행했다. 학자들과 당시 관계자들은 이들 부대가 만주 하얼빈 일대에 주둔하면서 중국인과 한국인, 러시아인 등 전쟁 포로에게 발진티푸스와 콜레라, 기타 세균 등을 주입해 세균전 실험을 했다고 증언하고 있다.
또 살아있는 인간을 생체 해부하고 수감자들을 동사시켜 인체의 지구력을 시험하는 등의 만행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은 당시 30여만명의 무고한 양민이 학살됐다고 집계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 같은 악행을 공식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이번 문서 공개로 731부대의 세균전과 인체를 대상으로 한 반인륜적 실험을 인정하지 않는 일본 정부의 입장 변화 여부가 주목된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