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py Seoul”… 10월 15일 여의도에 2000명 안팎 모일 듯
입력 2011-10-14 18:39
정부와 금융권이 15일 ‘반월가 시위’를 앞두고 바짝 긴장하고 있다. 금융권에 대한 불만과 함께 경기둔화와 취업난에 따른 반정부 감정까지 이입될 경우 자칫 2008년 촛불집회처럼 시위가 확산되면서 경찰과의 정면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찰은 불법집회로 이어질 경우 강경 진압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소비자단체들은 오후 2시 ‘여의도를 점령하라’는 집회를 ‘금융자본규제, 금융정책 및 관료 책임 규명, 금융피해자 규제를 위한 시위’라고 규정했다. 참가 인원은 2000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환헤지 상품인 ‘키코’ 피해 중소기업 운영자들, 저축은행 예금 및 후순위채권 피해자, 대출금리로 허덕이는 대학생 등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집회를 주도할 금융소비자협회장은 2008년 키코로 인해 100억원대 손해를 본 유압중장비회사 사장이다.
3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여 결성한 ‘99% 공동행동 준비위원회’는 당일 오후 6시 서울광장에서 ‘서울을 점령하라(Occupy Seoul)’라는 이름의 또 다른 금융자본 규탄 집회를 갖는다.
앞서 오후 4시에는 서울 세종로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 개정 촉구 집회, 이어 오후 5시에는 정동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국회 비준 저지를 위한 집회가 개최된다.
서울 남대문경찰서는 일단 오후 6시 집회는 불법으로 간주, 금지 통보를 내렸다. 경찰 관계자는 “서울광장에서 경기도 포천시의 농·특산물 대축전 행사가 먼저 신고돼 있어 금지했다”면서 “나머지 집회에 대해서도 도로 점거나 경찰관 폭행 등 불법행위가 있으면 규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집회가 예고된 가운데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지난 10일 간부회의에 이어 13일에도 금융권의 ‘리세스 오블리주’(Richess Oblige·가진 자의 사회 책임)’를 강조하며 고배당과 역대 연봉을 비판했지만 금융권은 이렇다 할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시중은행 평균 임금은 시가총액 상위 대기업의 70% 수준”이라고 해명하는 등 볼멘소리만 하고 있다.
한편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바른사회시민회의가 이날 주최한 토론회에서 “우리는 선진국과 달리 2008년 위기를 성공적으로 잘 극복했고 저축은행 사태 등은 국가 경제를 흔들 정도가 아니었다”면서 반월가 시위 움직임에 우려를 나타냈다.
황세원 기자 hws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