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상인 수수료율 1%대 중후반 인하”… 카드업계, 성난 여론에 무릎

입력 2011-10-14 21:13

카드업계가 중소상인들의 수수료율을 1%대 중후반으로 낮추기로 했다.

국민·신한·현대 등 주요 카드사들이 중소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를 내부 방침으로 정하고 구체적인 인하폭과 시기를 논의 중인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비씨·롯데·하나SK카드 등 다른 카드사들도 수수료율 인하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여신금융협회와 논의 중이다. 대형 카드사들의 선제적 조치로 다른 카드사들도 수수료율 인하 움직임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카드 고위관계자는 “중소 상인들이나 정부가 요구한 대로 1%대 중후반 수준까지 인하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며 “18일 외식업경영인 집회가 있기 전까지는 어느 정도 윤곽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중소가맹점 수수료율을 인하하면 수익이 크게 떨어지겠지만 여러 가지 요구를 받고 있어 인하를 검토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한카드 관계자도 “이번 주 수수료 인하 TF가 매우 분주하게 움직였다”며 “수익성 문제가 있지만 여론이 너무 거세 흐름을 따를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심리적 저항선인 2% 미만으로 수수료율을 낮추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카드사들은 눈치 보기에 나섰다. 수수료율 인하가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선제적인 조치는 어렵더라도 대세는 거스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카드 업계 전체에 수수료율 인하 움직임이 있다”며 “우리도 큰 흐름은 따라가야 하지 않겠느냐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고 털어놨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일단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수수료 인하 논의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지 1주일여 만에 카드사들이 ‘백기’를 든 셈이다. 이는 반(反) 월가 시위 확대로 금융권의 탐욕에 대한 질타의 목소리가 높은 상황에서 정치권과 금융당국까지 전방위적인 압박에 나서 카드사들이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나라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계류법안 대책회의에서 중소가맹점의 카드 수수료율을 2%로 제한해 실질적으로 카드 수수료를 낮추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 낮은 수준의 카드 수수료율이 적용되는 중소 가맹점의 범위를 현행 연매출 1억2000만원(내년부터 1억5000만원으로 확대될 예정)에서 2억원으로 확대할 것을 정부 측에 요구키로 했다. 이주영 정책위의장은 “중소 자영업자의 경우 대형 마트·백화점 때문에 손님이 줄어 힘든데 카드 수수료율이 높아 이중 고통을 받는 실정”이라며 “지난 11일과 13일 정부 측에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은 10~11월 중 일부 신용카드사에 대해 보안실태 현장 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표면적으로는 금융권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후속 조치지만 결국 카드사 수수료율 인하에 대한 채찍으로 해석된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전날 “카드사 스스로가 (수수료 체계에 대해) 자율적으로 답을 내야 한다”고 카드업계를 압박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