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미 FTA 비준] 주미 대사관, 의원 535명 표 만들어 수시 점검
입력 2011-10-13 18:33
하원은 찬성 278표, 반대 151표. 상원은 찬성 83표, 반대 15표.
12일(현지시간) 미국 의회의 하원과 상원이 연이어 통과시킨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이행법안 표결 결과다.
지난 1년여 동안 주미 한국 대사관은 상하원 의원 전원의 한·미 FTA 이행법안 처리에 대한 찬반 또는 중립적 입장을 수시로 점검했다. 큰 종이에 535명 상하원 의원 전원 이름과 함께 FTA 관련 발언과 성향 등을 적어놓고 표 계산을 한 것이다. 표결 결과는 대사관의 도상(圖上) 분석과 거의 일치했다.
하원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찬성은 59표에 불과했다. 전체 민주당 하원의원의 70% 정도가 반대한 것이다. 여기에는 자유무역에 반대하는 민주당 의원 중심의 의회무역실무그룹(회원수 100여명)이 막판에 반대 분위기를 잡아나갔기 때문이다. 대사관 관계자들도 막판에 이들을 집중 설득하는 전략을 쓰면서 ‘손실’을 그나마 최소화했다.
우리 측 입장에서 보면 한·미 FTA 이행법안 통과의 원동력은 한덕수 주미 대사를 필두로 한 대사관 관계자들의 이른바 ‘아웃리치(outreach)’ 활동이다. 한 대사와 대사관 관계자들은 지난해 3월부터 지금까지 31개주 57개 도시의 의원 지역구를 찾았다. 현지 여론을 우호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아웃리치 활동을 위해서다. 의원들에게 가장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표와 정치자금을 찾아 현지를 직접 다닌 것이다. 지역 여론을 파고들어 의원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한다는 전략이었다.
특히 한 대사는 그동안 공화당 소속 존 베이너 하원의장 등 민주·공화당 지도부를 포함해 지금까지 245명의 상하원 의원과 모두 488회 면담했다. 반대 의원들도 만나 설득하거나 최소한 중립화 노력을 벌였다.
한 대사는 람 이매뉴얼과 윌리엄 데일리 등 전현직 백악관 비서실장과도 직접 접촉해 FTA 처리 분위기 조성을 강력히 요청하기도 했다.
한인 유권자들의 활동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한인 유권자가 많은 지역구의 경우 조직화된 힘을 통해 의원 사무실에 ‘압력’을 행사하거나 정치자금 모금에 적극 참여하는 전략을 썼다.
한인 유권자들 조직화에 힘써온 뉴욕 한인 유권자센터의 김동석 상임이사는 “워싱턴 중앙정치와 지역 여론을 동시에 공략하는 입체적 활동을 통해 이런 결과를 이끌어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