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비만 청소년 크게 늘었다… 패스트푸드 섭취 원인
입력 2011-10-11 18:36
2∼18세 소아·청소년 비만이 지난 10년간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값싸고 지방 함량이 높은 고열량·저영양식(패스트푸드) 섭취가 많은 탓으로 분석된다.
11일 한국비만학회가 1998년과 2007∼2009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비교·분석해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소득 상위 25% 가정의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10년새 6.6%에서 5.5%로 감소한 반면 하위 25%는 5.0%에서 9.7%로 배 가까이 늘어났다. 저소득층 소아·청소년 비만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영양 불균형이 꼽혔다.
소득 하위 25% 가정의 소아·청소년들은 에너지 섭취량이 235㎉ 늘어났지만 다른 소득층에서는 줄어들거나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루 지방 섭취량도 하위 25%에서는 15.4g 늘어난 데 비해 중간계층에선 줄었으며 상위 25% 계층에선 8.1g 늘어나는 데 그쳤다.
비만학회 오상우(동국대 일산병원 교수) 총무이사는 “저소득층 맞벌이 부부나 편부모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 중에는 칼로리는 높지만 영양소는 적은 소시지 햄버거 라면 등 인스턴트 식품을 섭취해 비만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비만학회 조사 결과 어린이 비만의 68%는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고 비만 아동의 37.5%에서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 각종 성인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 교수는 “특히 저소득층 비만은 대물림될 수도 있는 만큼 정부는 관련 예산을 늘려 건강식단 개발 및 보급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도 저소득층 소아·청소년 비만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올해 7월부터 방과후 서울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저소득층 아동 600명을 대상으로 매일 100g씩 과일을 제공하는 사업을 시범 실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또 최저생계비 200%미만 가정의 임산부와 6세 미만 아동에게 영양평가를 실시해 영양 위험 요인이 발견되면 필수 보충식품 패키지를 제공하는 ‘영양 플러스 사업’을 전국 251개 보건소로 확대, 시행하고 있다. 아울러 저소득층 소아·청소년 비만 관리는 관련 부처와 협의해 일반 비만 예방 대책과 별도로 수립해 집행할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앞으로 아동기의 올바른 식생활과 운동 습관을 생활화하기 위한 교육 홍보와 캠페인 등을 적극 전개할 계획이지만 관련 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비만 관련 홍보 예산은 2010년 10억2000만원에서 올해 8000만원으로 크게 줄었고, 내년 예산에는 아예 반영조차 되지 않았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