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7개 특화벨트로 발전시킨다… 평창 동계올림픽과 연계 7대 원칙 등 청사진 마련

입력 2011-10-10 21:51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와 연계한 ‘강원도 종합발전 청사진’의 윤곽이 잡혔다.

강원도는 10일 최문순 지사 주재로 최두영 행정부지사, 김상표 경제부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강원발전연구원에 의뢰한 ‘강원도 종합발전전략 보고회’를 열고, 평창 동계올림픽과 연계한 7대 원칙과 7개 특화 벨트 조성 방안을 밝혔다.

강원도의 종합발전전략이 균형 발전에 초점을 맞춘 것은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지역별 편중 지원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도내에서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확정 후 특정지역에 대한 예산 집중 지원에 따른 지역 불균형 우려가 급부상했었다.

종합발전전략은 동계올림픽 개최로 도의 발전여건이 급속히 좋아진 만큼, 이를 능동적으로 도의 발전으로 유도할 체계를 갖추기 위해 단기·중기·장기로 나눠 2030년까지 계획됐다.

도는 성공적인 동계올림픽 개최를 위해 민생, 흑자, 균형, 환경, 문화, 평화, 휴먼웨어 등 2018 평창 동계올림픽 7대 원칙을 강원도내 권역별 발전 전략과 접목시킬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 전역을 7개 특화 벨트로 나눠 춘천권역은 콘텐츠산업, 접경지역은 평화산업, 고성 등 동해안 북부권은 남북협력도시 거점, 속초·양양권은 물류중심지로 육성한다는 방안을 세웠다.

또 평창·강릉권은 레저산업 거점, 강릉 남부인 옥계·동해권은 줄기물질산업 거점, 원주권역은 융복합산업 거점, 삼척은 에너지·방재산업 거점, 폐광지역은 퓨전에너지산업 거점으로 계획됐다.

도는 향후 시·군 순회 설명회 등을 통해 이 같은 발전 전략을 설명하고, 각 시·군 의견을 수렴해 다음달 안으로 최종 계획을 확정시킨다는 방침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확정으로 그동안 춘천권, 원주권, 강릉권 등 3개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하던 권역별 발전전략을 보다 다각화해 균형발전을 이룰 필요성이 커졌다”며 “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효과가 모든 도민과 지역에 돌아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춘천=박성은 기자 sil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