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육박 ‘백화점 판매수수료’ 진실은?… 공정위 인하 압박에 업계 “신용등급 강등 우려”
입력 2011-10-10 18:11
공정거래위원회와 백화점 업계는 당초 이달부터 중소협력업체의 판매수수료를 인하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협상은 지지부진하다. 공정위는 백화점이 내놓은 인하안이 기대에 못 미친다며 재검토할 것을 요구하고, 백화점들은 “더 이상 내놓을 대책이 없다”며 반기를 드는 모양새다. 특히 롯데 현대 신세계 등 백화점 3사 대표가 모두 해외 출장을 떠나 협의 자체를 거부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백화점 관계자는 10일 “공정위가 지난 7일까지 개선된 판매수수료 인하안을 내놓으라고 요구했지만 현재까지 새로 안을 마련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백화점 업계는 ‘판매수수료 3∼7% 포인트 인하’ 방침에 따라 지난달 30일 연매출액 10억∼50억원 이하의 중소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수수료를 3∼7% 포인트 내리는 방안을 공정위에 제출했다. 당시 인하안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백화점 영업이익의 1% 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공정위는 이달 5일 백화점 3사 대표를 다시 불러 실행력 있는 인하안을 내놓을 것을 재차 요구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백화점이 제출한 인하안에는 몇개 업체에 대해 수수료를 얼마나 인하할 것인지 구체적인 논의가 빠져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백화점 업계는 “공정위가 3∼7% 포인트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안을 마련하라고 해놓고 막상 안을 제시하니 미흡하다고 하는 것은 사실상 관치”라며 반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실무진에서 안을 다듬고 있지만 지난달 30일 제출한 인하안에서 크게 달라지는 건 없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공정위의 개선안 마련 요구를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의미다.
또 다른 관계자는 백화점이 수많은 주주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상장사임을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달 12일 한국 백화점들이 마진을 인하할 경우 신용등급에 부정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며 “신용등급이 강등되면 연간 수백억원의 추가 이자비용이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압박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주요 백화점과 명품업체 및 중소업체 간 입점계약 조건을 조사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10월부터 판매수수료 인하를 시행하기로 했던 만큼 최소한 이달까지는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몰아붙였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백화점 3사에 입점해 있는 업체 300곳의 지난해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29.3%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혁·잡화(34.1%), 남성정장(33.5%) 및 여성정장(33.1%), 화장품(31.0%) 등 30%를 넘는 업종도 있었다. 응답 업체의 54.7%는 ‘매년 수수료율이 인상된다’고 답했고, 이 중 27.5%는 연중 수시로 인상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