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공원 ‘6개 단위공원’ 나눠 개발

입력 2011-10-10 22:03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 들어설 용산공원의 청사진이 나왔다.

국토해양부는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을 11일 확정·고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종합기본계획에는 지난 5월 지정된 용산정비구역 1156만㎡(349만평)의 조성·관리 방향이 담겨 있다.

정부는 용산공원의 비전으로 ‘자연과 문화, 역사와 미래가 어우러지는 열린 국가공원’을 제시했다.

서울의 ‘녹색 허파’ 기능을 할 공원조성지구 243만㎡는 남산의 만조천 지류를 복원하는 등 남산∼용산공원∼한강의 남북으로 이어지는 녹지와 물 흐름을 되살리고, 녹지가 주변 도시지역으로 확산되도록 개발한다. 공원지구는 생태축공원 등 6개 단위공원으로 나눠 개발하고, 공원 내 건폐율은 보통 도시공원의 절반 수준인 10% 내외로 제한한다. 6개 단위공원별로는 10% 이하의 건폐율을 각각 설정하고 구릉지 훼손을 금지해 저층의 친환경 건축물을 짓도록 할 계획이다.

캠프킴·유엔사·수송부 부지 등에 들어서는 복합시설조성지구 18만㎡는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경기도 평택 미군기지 일부를 건설해 주는 대가로 개발되며, 미군부대 이전 재원 3조4000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 변경된다. 이곳은 용적률이 800%까지 허용돼 40∼50층 높이의 복합문화 건물이 들어설 전망이다.

캠프킴 4만8000㎡는 용산국제업무지구와 구도심을 연결하는 지역 거점으로, 유엔사 5만2000㎡와 수송부 7만9000㎡는 신분당선 동빙고역의 역세권과 기능을 살리면서 한남뉴타운의 중심지 및 이태원 특구와 연계한 국제교류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공원 주변지역 895만㎡는 서울시가 별도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해 난개발을 막고 용산공원과 조화를 이루게 할 방침이다.

용산공원은 2017년부터 10년간 3단계로 나뉘어 개발된다. 국토부는 사업비로 공사비 8840억원, 토지 정화비 1030억원 등 총 1조200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사업비는 향후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서울시와 국가가 분담한다. 재원 부족에 대비해 임대형 민자사업(BTL), 수익형 민자사업(BTO) 등 다양한 민간 투자도 고려하기로 했다.

김정현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