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정무위] ‘왕차관’ 불러냈지만 ‘한방’은 없었다

입력 2011-10-06 18:41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한나라당 의원의 최측근이자 ‘왕차관’으로 불렸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제2차관이 마침내 18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했다. 그동안 야당은 그를 각종 대통령 측근 비리의 주범으로 지목해 기회가 있을 때마다 증인으로 요청했지만 출석시키는 데 실패했다.

박 전 차관은 6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무총리실 국감에서 총리실 국무차장 시절 특정업체에 해외 자원개발 특혜를 줬다는 의혹으로 증언대에 섰다. 하지만 야당이 벼르고 벼른 ‘결정적 한 방’은 없었다. 야당 의원들은 지금까지 거론됐던 CNK마이닝의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과 KMDC사의 미얀마 유전개발권 취득 관련 의혹을 제기했지만 박 전 차관은 “논란이 돼서 죄송하다”는 원칙적 사과만 했을 뿐 “특혜는 없었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박 전 차관은 미얀마 정부 측에 KMDC를 잘 봐달라고 특별히 부탁한 적이 없고, 함께 동행한 자원개발 회사들과 같은 수준의 통상적인 협조만 부탁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또 이영수 KMDC 회장과 같이 미얀마를 방문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미얀마 측에서 KMDC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보이는 게 이상해서 가스전 개발 주역인 대우인터내셔널 부사장을 통해 이유를 알아보니 KMDC 측 파트너가 미얀마 유력자와 연관돼 있다고 하더라”며 “비즈니스에 정치가 개입하면 위험하니 KMDC를 유념해서 잘 봐야 한다는 지시까지 내렸다”고 설명했다.

박 차관은 또 “자원개발은 다 불확실하다” “중소기업이라고 해서 자원개발에 성공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대우인터내셔널의 미얀마 가스전 개발도 25년간 포기한 사업에 다시 도전해 성공한 것”이라는 등 자원개발 리스크를 여러 번 강조했다.

민주당 신건 의원은 “박 전 차관이 국무차장 시절 총리실 과장들을 방에서 만날 때마다 CNK 주식을 언급했다는 제보가 있다”며 “심지어 ‘공무원이 이런 때 아니면 언제 돈을 벌겠냐’는 말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임종룡 국무총리실장에게 “총리실 직원들이 CNK 주식을 매수했는지, 박 전 차관의 주식 매수 권유가 있었는지를 공직복무관리관실을 통해 조사하라”고 요구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