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대상 899개 中企 중 55개 퇴출
입력 2011-10-05 18:43
지난달 말 마무리된 중소기업 구조조정에서 55개 업체가 쓰러졌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은 최근 899개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을 평가한 뒤 지난달 말 30개 기업에 C등급(워크아웃)을, 25개 기업에 D등급(법정관리)을 통보했다. 이들 업체는 이자보상배율(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이 3년간 1을 밑돌거나 영업현금흐름이 3년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C등급으로 분류되면 자구계획을 마련해 재평가를 요구할 수 있지만 사실상 워크아웃을 신청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D등급은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매각·청산 절차를 밟게 된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체가 31개사로 가장 많았다. 부동산 관련 업종도 13개사(부동산 8개사, 건설 5개사)나 됐다. 부실 조선·해운업종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대부분 퇴출돼 이번 구조조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다.
이번 신용위험 평가 대상은 금융권의 여신공여액이 5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인 기업 가운데 외부감사를 받는 법인이다. 6월 말 여신공여 500억원 이상 대기업 중 구조조정 된 34곳을 포함하면 올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대상으로 분류된 기업은 89곳이나 된다.
더구나 금융감독 당국이 지난 4일부터 외부감사를 받지 않는 중소기업 신용평가에 착수해 이달 말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퇴출 기업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C·D등급 중소기업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56개사에 달했지만, 지난해는 경기 호전으로 78개사로 줄었다. 그러나 올해는 세계 경기둔화와 금융시장 불안으로 구조조정 기업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요국 경기침체가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구조조정되는 기업이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