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북자 전담 범정부 TF 검토… ‘통영의 딸’ 모녀 계기 생사 확인·송환 추진

입력 2011-10-05 18:33

정부가 6·25 전후 납북자 생사 확인과 송환 문제를 전담할 태스크포스(TF) 구성을 검토하고 있다. 통일부 박수진 부대변인은 5일 “납북자 문제를 전담할 범정부 차원의 TF를 구성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외교통상부 국가정보원 경찰 등 관계 부처가 참여하는 TF안이 만들어지는 대로 행정안전부와 구체적인 협의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TF 구성은 북한에 억류 중인 ‘통영의 딸’ 신숙자씨 모녀 송환문제가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국정감사를 통해 필요성을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통일부는 국군포로를 제외한 납북자 TF가 설치되면 오는 10월 임무가 종료되는 전후 납북피해지원단 기능을 흡수할 예정이다. 국군포로 문제는 국방부가 전담하고 있다.

정부는 또 중국에서 체포돼 북송위기에 처한 탈북자 35명의 한국행을 위해 총력을 경주할 방침이다. 정부와 한나라당은 국회에서 당정회의를 열어 이들의 강제 북송을 막기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회의에서 “이들의 석방을 위해 중국 당국과 접촉 중”이라고 말했고,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는 “탈북자는 본인이 북한 지역을 벗어나 대한민국으로 오겠다는 의사를 표명하는 순간부터 대한민국 국민이다. 중국의 탈북자 강제 북송은 그들도 가입한 유엔난민협약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북한은 우리 측에 통지문을 보내 4일 동해상에서 목선을 탄 채 발견된 북측 주민 2명의 송환을 요구했다. 정부는 관계기관 조사가 끝나는 대로 이들의 자유의사에 따라 신병을 처리할 방침이다.

이흥우 선임기자 h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