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 기자실 통폐합 부당한 조치 아니다”… 버시바우 美대사, 본국에 보고
입력 2011-10-02 18:45
노무현 정부가 추진한 정부 부처 기자실 통폐합에 대해 당시 주한 미국대사는 부당한 조치가 아니라는 취지로 본국에 보고한 것으로 2일 밝혀졌다.
이는 폭로 전문 사이트 위키리크스가 최근 공개한 2007년 6월 26일자 주한 미 대사관발 전문에서 드러났다.
전문은 당시 참여정부가 ‘취재 선진화’란 명분으로 추진한 정부 부처 37개 기자실 통폐합에 대한 알렉산더 버시바우 당시 미 대사의 시각을 담고 있다.
버시바우 대사는 전문에서 한국에서 진행되는 기자실 통폐합 조치의 경과와 언론·정당들의 반응 등을 상세히 소개했다.
그는 끝부분 논평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언론과 긴장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언론에 일부 제약을 가하려 하는 것은 비밀이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 언론은 현재 정부 각 부처와 당국자들에 대한 놀라운 수준의 접근권을 누리고 있다”며 “대사관 직원들은 (한국 정부) 부처 로비에서뿐 아니라 복도에서 돌아다니는 기자들을 자주 만난다”고 적었다.
또 “고위 당국자들에 대한 기자들의 접근이 쉽다는 점은 명백하다”며 “정부의 내밀한 정보가 신속하게 유출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부연했다.
버시바우 대사는 “따라서 정부 부처에 대한 기자들의 접근권에 제약을 가하는 것이 한국이 풍부하게 누리는 언론 자유를 짓밟는 것이 아니라 미국 등 외국에서는 흔한 ‘경계(boundaries)’를 치려는 노력으로 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참여정부는 정부 부처별 기자실을 없애는 대신 각기 다른 부처 출입 기자들을 통합브리핑센터 한곳에 입주시키는 내용을 담은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2007년 5월 국무회의에서 가결해 추진했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