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제회의 비상체제로 전환
입력 2011-09-28 21:27
정부가 현 경제상황을 ‘위기’로 보고 비상 대응 체제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28일 열린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민경제대책회의가 비상경제대책회의로 전환돼 운영될 예정이다. 경제정책조정회의도 다음 주부터 위기관리대책회의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청와대와 경제부처가 위기 체제로 전환한 것은 국내외 금융시장 불안을 심각한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재정부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위기관리대책회의로 운영해 오다 지난해 12월 22일 일반 회의로 되돌렸었다.
박 장관은 회의에서 “정부는 글로벌 재정위기의 파장에 대비해 ‘3차 방어선’까지 든든하게 마련했고 최정예 부대가 지키고 있다. 불안심리를 자극하는 루머까지 가세해 자칫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을 우리가 증폭시키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했다.
또 박 장관은 이날 처음 열린 ‘민관합동 경제·금융점검 간담회’에서 “1997년과 2008년 위기를 겪으면서 정부와 민간의 리스크 관리, 위기 대응 능력이 크게 높아졌다”며 과도한 불안감 잠재우기에 주력했다. 회의에 참석한 민간 전문가들도 시장 불안감이 과하다는 데 동의했다. 박 장관은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쓸 시점이냐는 질문을 받자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한편 박 장관은 한·중 경제장관회의에서 ‘삼국지’의 한 장면인 ‘도원결의’를 인용해 국제 공조를 강조했다. 돼지고기를 팔던 장비는 물가 안정, 홀어머니를 모시던 유비는 고령자 고용 촉진, 절개의 상징인 관우는 ‘파죽지세’ 같은 성장 동력을 찾는 노력에 빗댔다. 박 장관은 “아시아 역할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역내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