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국회 마지막 국감-기재위] “고연봉 받는 한은 임직원들 서민 고물가 고충 못느끼나”
입력 2011-09-27 23:08
“한국은행 김중수 총재는 뒷북 총재, 낙제점 총재다.”
27일 열린 한은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은 물가당국 수장인 김 총재의 안이한 경제상황 인식을 일제히 질타했다.
한나라당 이혜훈 의원은 “김 총재는 지난 8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사실상 4% 물가목표 달성 실패를 자인했다”면서 “그럼에도 금리는 ‘경제에 무리를 줄 수는 없다’며 3개월째 동결하는 무책임한 결정을 했다. ‘물가안정’을 설립목적으로 하는 한은 총재가 맞느냐”고 쏘아붙였다. 이 의원은 “선제적 물가관리에서도 실패해 뒷북 총재라는 명칭이 어울린다”며 “정부와 거시정책실무협의회를 통해 물가안정과 상충하는 고용안정에 정책공조하기로 합의한 것을 홍보하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한나라당 정양석 의원은 이 정부 들어 올라간 물가수준을 들먹이며 한은의 물가안정 소홀을 지적했다. 정 의원은 “MB물가(이명박 대통령이 뽑은 생활품목 물가) 상위 10개 품목은 현 정부 집권 초 대비 73%가 올랐고 가격이 내린 것은 4개 품목뿐”이라며 “한은이 물가보다 금융안정에 너무 신경쓰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일부 의원은 통화정책 실패에 대해 김 총재가 직접 사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 오제세 의원은 “선진국보다 물가는 배 이상 올랐고 가계부채는 현 정부 들어 1년 평균 70조원씩 늘었다”며 “금리인상 시기를 놓치면서 정책의 실기를 야기했다. 물가급등에 대해 총재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의원은 특히 고액연봉을 받는 한은 임직원들이 고물가에 대한 서민의 고충을 못 느끼고 있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오 의원은 “한은 직원 2200명 중 연봉 1억원 이상이 600명이고 전 직원 평균 연봉이 8000만원”이라며 “서민이 (물가로) 고통받는 것에 대해 한은맨들은 상류층이어서 이를 잘 몰라 물가에 대한 책임을 못 지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총재는 “평균 연봉이 8000만원 넘는 것은 사실이지만 유사업종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 아니다”며 “한은 직원들이 물가 문제를 모르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