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자위대 행사 참석 구설
입력 2011-09-27 15:21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할 후보들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이들을 둘러싼 각종 의혹도 함께 불거지고 있다. 후보들은 27일 논란에 적극 대처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는 2004년 6월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일본 자위대 창설 5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것이 계속 발목을 잡고 있다. 문제가 불거지자 나 후보는 “내용을 모른 채 갔다가 금방 나왔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는 “참석 예정인 국회의원들에게 미리 항의팩스도 보냈다”고 주장해 나 후보 해명이 거짓이라는 추가 의혹까지 제기된 상태다.
나 후보는 또 ‘사학재벌의 딸로 2005년 사학법 파동 때 적극 반대 입장에 섰던 것 아니냐’는 의심도 받고 있다. 그의 부친은 화곡중·고교 등을 운영하는 흥신학원 법인과 학교 3곳의 이사장을 맡고 있다. 나 후보는 “당시 한나라당 당론에 따른 것일 뿐”이라고 밝혔다.
범여권 시민후보로 나선 이석연 변호사는 2007년 대선 직후 민주당이 헌법재판소에 제기한 ‘이명박 특검법’ 위헌소송에서 이 대통령 측 소송대리인을 맡았던 전력이 논란거리다. 대통령에 대한 형사소추를 막아준 덕분에 현 정권이 들어선 이후 법제처장에 임명됐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 변호사는 “법제처에 사무관으로도 근무했고, 대통령도 이런 전문성을 인정해 임명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법제처장 퇴임 후 기업체 고문으로 활동하며 고수익을 올렸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도 “기업체에서 고문료 명목으로 한 달에 50만∼100만원 정도만 받았다”고 해명했다.
민주당 박영선 후보는 일본에 거주 중인 아들(13)의 이중국적 문제가 주로 거론된다. 박 후보의 아들은 한국 출생이지만, 미국 국적자였던 박 후보 남편을 따라 미국 국적을 갖게 됐다. 박 후보 남편은 지난 6월 한국 국적을 취득했다.
박 후보 측 대변인인 김형주 전 의원은 “(미 국적법에 따라) 아이는 자동으로 아버지 국적을 부여받게 돼 있고, 18세가 되기 전까지는 부모가 결정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