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靑, 측근비리 의혹 특단 대책” 요구 왜… “黨부터 살고 보자” 고육책
입력 2011-09-27 01:27
한나라당 분위기가 달라졌다. 홍준표 대표 등 당 지도부는 26일 이명박 대통령 측근 비리 의혹 등에 대해 선제 대응을 촉구하며 청와대를 압박했다. 지난주 신재민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비리 의혹이 불거졌을 당시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던 모습과는 확연히 다르다.
다양한 분석이 뒤따른다. 그중 선거를 앞둔 고육책이라는 해석이 가장 많다. 핵심 당직자는 “우선 당부터 살고보자는 차원이 아니겠느냐”고 했다. 당내에는 ‘안철수 급부상’, 정전 및 저축은행 사태 등 정국이 지극히 여당에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불거진 잇단 대통령 측근 비리가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대형 악재가 될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따라서 선거 패배 시 사퇴 압박에도 직면할 수 있는 지도부가 청와대를 향해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며 세게 나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김기현 대변인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청와대가 선제적으로 검토해 불필요한 오해가 증폭되지 않도록 해 달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임기 말 청와대와의 거리두기 성격도 있다. 권력비리 의혹이 걷잡을 수 없이 튀어 나올 수 있는데, 언제까지 대통령과 청와대를 비호할 수만은 없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는 얘기다.
물론 홍 대표가 지난 7월 당 대표 경선과정에서 “대통령의 탈당을 반복하는 배신의 정치는 안 된다”고 밝힌 바 있어 당이 청와대에 완전히 등을 돌리는 상황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당 주변에선 신 전 차관 비리 의혹은 개인 친분에 따른 문제였고, 이권을 놓고 정권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개입된 게 아니라는 확신이 있기 때문에 지도부가 청와대에 선제 대응을 주문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특히 당내에선 권력형 비리로 레임덕이 되풀이됐던 과거 정권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는 대통령과 청와대가 과거 정권과는 다른 대응방식을 보여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당 고위 관계자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이나 사정라인이 지금까지 제대로 못하니까 이런 일이 발생한 것 아니겠느냐. 지금 시스템으로는 측근 비리를 밝혀내는 것이 힘든 만큼 TF 등 새로운 시스템으로 이 문제를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은 “성역 없이 수사하기 위해서는 결국 대통령이 먼저 각오를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홍 대표는 이 같은 당내 분위기를 지난 주말 회동과 이날 오전 재차 청와대 고위층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도부는 청와대가 당의 요구를 받아들여, 이 대통령이 측근 비리를 엄단하겠다는 결단과 함께 추가 조치를 취하는 모양새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장희 유성열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