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이국철 폭로는 일방적 주장”-黨 “측근비리 靑 특단대책 필요”
입력 2011-09-27 01:15
청와대는 26일 정권 실세들에게 금품과 향응을 제공했다는 이국철 SLS그룹 회장의 폭로에 대해 “이 회장의 일방적 주장”이라며 “이 사건 실체에 우리 정부가 관련된 것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이 회장이 지난 21일 신재민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과 청와대 전·현직 인사들을 거명하며 폭로를 시작한 뒤 나온 청와대의 첫 공식 입장으로,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으로 이어질 수 있는 측근 비리 의혹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검찰도 이날 “이 회장을 재소환할 계획이 없다. 현 단계에선 수사할 게 없다”며 지난 23일 이 회장을 전격 소환했던 것과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 사건의) 큰 흐름은 수뢰나 권력형 비리가 아니다. 측근 비리라고 하지만 과거와 굳이 비교한다면 큰 뇌물 받고 이권에 개입하는 식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신 전 차관 의혹과 관련, “개인 문제이지 구조적인 문제는 아니다”며 “신 전 차관은 억울함을 주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회장이 금품을 줬다고 주장한 청와대 전·현직 인사 3명에 대해선 “이미 사실과 다른 걸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이날 측근 비리 의혹과 관련해 청와대에 ‘특단의 대책’을 촉구했다. 홍준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두우 전 홍보수석, 신 전 차관 비리 의혹이 연일 거론되고 있다”면서 “권력 비리와 측근 비리 등에 대해 특단의 대책을 강구토록 청와대에 요청한다”고 말했다. 유승민 최고위원도 “청와대는 특단의 기구를 만들어 선제적으로 자정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여당이 청와대의 선제 대응을 주문한 것은 정전사태, 저축은행사태, 경제위기 등 악재가 쌓이면서 10·26 재·보궐선거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핵심 당직자는 “홍 대표가 지난 주말 청와대 관계자들과 회동해 당의 우려를 전달했고, 청와대도 이를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런 사정을 감안, 이명박 대통령은 27일 국무회의에서 측근 비리 의혹에 대한 한점의 의혹도 없는 철저한 진상조사를 주문할 것으로 전해졌다. 임태희 대통령실장도 국무회의 뒤 사정기관장 회의를 열어 측근 비리 태스크포스(TF) 구성 문제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임기 말 권력 주변에서 있을 수 있는 일에 대한 경고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아무 일 없는 듯 넘어갈 수는 없는 상황으로 공직사회를 다잡을 때”라고 말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