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시민운동가에서 변신한 박원순 검증 필요

입력 2011-09-25 17:40

서울시장에 도전한 박원순 변호사는 참여연대를 이끌며 정부와 여당을 호되게 비판하다 어느 날 갑자기 아름다운 재단을 만들어 나눔 전도사역을 자임했다. 참여연대에 몸담고 있을 땐 삼성 등 재벌을 매섭게 몰아붙였다. 소액주주운동 등을 벌이며 재벌을 노동자 착취 집단으로 규정하고 재벌개혁 목소리를 높였다.

재벌과는 말상대도 안 할 것 같았던 그가 삼성으로부터 7억원의 기부금을 받았고 대기업인 포스코의 사외이사로 활동했다는 사실은 국민들에게 다소 의외였을 것이다. 그는 자신이 설립한 희망제작소가 삼성으로부터 받은 기부금과 관련해 개인적으로 받은 적이 없으며 후원을 받아 늘 공정하게 공익을 위해 썼다고 밝혔다. 2004년부터 5년간 포스코 사외이사를 하면서는 3억5700만원의 보수를 모두 희망제작소에 기부했다고 해명했다.

서울 방배동 61평 아파트를 보증금 1억원에 월세 250만원을 주고 살고 있다는 사실도 서민들로서는 선뜻 이해되지 않는 대목이다. 가지지 못한 사람의 친구로 알려지고 처신해 왔던 그가 월세라곤 하지만 서민들은 꿈도 꿀 수 없는 대형 아파트에 살고 있다니 그의 지지자들은 실망 했을 것이다. 자료를 보관할 곳이 없어 넓은 평수로 이사했다고 그는 설명했다.

박 변호사는 북한인권문제 등 보수 세력이 중요시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힌 적이 없다. 이 때문에 인권변호사 출신이면서 북한인권에 대해서는 침묵한다는 비판을 듣고 있다. 최근에 불거져 해명한 몇몇 사실 이외에 그는 자신의 이념과 신념이 어떤지 소상하게 밝힌 적이 전혀 없다. 시민운동가로 활동해오면서 검증을 받을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1000만 시민의 살림살이를 책임지는 막강한 권한을 가진 서울시장의 유력한 후보가 될 수 있는 위치에 와 있다. 정치인의 길로 들어선 것이다. 유권자인 국민은 그의 모든 것을 알 권리가 있다. 정치인 박원순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한 한 이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