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5곳 ‘구조개혁’ 선정] 강원대, 충원율에 발목…원주대는 취업률이 문제

입력 2011-09-23 22:12

구조개혁 중점추진 대상으로 선정된 강원대, 충북대, 강릉원주대, 군산대, 부산교대는 혼란에 빠졌다. 지표의 실효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다.

이번 평가에 사용된 지표는 취업률, 재학생 충원율, 국제화, 학사관리 및 교육과정 운영, 장학금 지급률, 학생 1인당 교육비, 등록금 인상 수준, 대입전형 지표 등 8개다. 교과부는 교대에는 취업률 대신 임용시험 합격률을 적용하고 국제화 지표는 반영하지 않았다.

◇무엇이 문제였나=강원대와 강릉원주대는 재학생 충원율이 발목을 잡았다. 이는 반영비율이 20%로 취업률과 함께 가장 크다. 강원대는 2006년 삼척대와 통합하면서 춘천캠퍼스와 삼척캠퍼스를 운영했다. 춘천캠퍼스의 재학생 충원율은 110.1%로 전국 국립대 평균 수준이지만 삼척캠퍼스는 전국 최하위권인 89.6%였다. 결국 두 캠퍼스 합산 수치가 99.85%로 나왔다. 강원대 관계자는 “삼척캠퍼스의 재학생 충원율을 꾸준히 상승시켰지만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2007년 강릉대와 전문대인 원주대가 통합한 강릉원주대는 재학생 충원율이 본교 99.3%, 원주캠퍼스 92.1%다. 강릉원주대 관계자는 “군입대 휴학생이 많아 재학생 충원율이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대부분 지표가 중상위권을 유지한 군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취업률(48.1%)과 재학생 충원율(98.2%) 때문에 구조개혁 대상으로 꼽혔다. 충북대도 하위권인 취업률(49.3%)이 문제가 됐다. 부산교대는 35%대로 낮은 교원 임용률이 문제가 됐다.

◇“지표가 전부냐” 반발 거세=해당 대학은 반발하고 있다. 절대지표가 아닌 상대지표를 사용하다보니 대학 간 점수차가 거의 나지 않는다는 비판이 거세다.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문제점도 지적됐다. 부산교대 측은 “학령인구 감소로 초등교사 임용 정원이 졸업 정원의 23%에 불과한 부산의 현실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충북대는 교과부의 발표 직후 긴급회의를 열고 보직교수 전원 사퇴를 결정했다. 충북대는 “일방적인 학생 수 기준에 따른 상대평가로 하위 15% 대학을 선정, 부실대학으로 몰아 지방대학을 더 황폐화시키는 이번 발표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지표 값만 올리면 된다는 사고를 확산시켰다”고 주장했다. 강원대도 “학교의 특수성과 강원도의 열악한 인구·지리적 여건을 감안하지 않은 발표”라면서 “기계적인 졸속평가”라고 비판했다. 강릉원주대는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지표가 적용될 수밖에 없는 지방 국립대학을 서열화하는 처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